정선아리랑 (아리랑)

구비문학
작품
강원도 무형문화재 1호로 지정된 강원도 정선지역 전래 향토민요 아라리.
내용 요약

정선아리랑은 강원도 무형문화재 1호로 지정된 강원도 정선지역에서 전래하는 향토민요 아라리이다. 긴 아라리·자진 아라리·엮음 아라리로 구성되는데, 긴 아라리는 여러 사람이 돌아가면서 노래한다. 자진 아라리는 선후창 방식으로 노래하며, 주로 모를 심거나 밭을 맬 때 부른다. 엮음 아라리는 앞부분에서 긴 가사를 촘촘히 엮어 부르고, 후반부의 선율은 긴 아라리와 같다.

정의
강원도 무형문화재 1호로 지정된 강원도 정선지역 전래 향토민요 아라리.
정선아리랑의 역사

정선아리랑은 강원도 무형문화재 1호로 지정된 강원도 정선 지역에서 전래하는 주1 「아라리」의 고유 명사이다. 정선군은 1968년에 『정선아리랑가사집』을 냈고, 1970년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정선아리랑이 민요(民謠)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 1971년 정선에서 전래한 아라리가 강원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되고, 이와 관련한 3명의 기능 주2도 지정되었다. 이와 함께 ‘정선아리랑’이라는 명칭이 공식화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정선아리랑의 내용

아라리는 강원도를 비롯한 우리나라 동부 지역 산간 지대에서 불린다. 노래판에서 혼자 또는 여럿이 어울려 부르기도 하고, 밭을 매거나, 나무하고, 나물을 뜯으며 노래하기도 하였다. 남녀의 사랑, 이별, 신세 한탄, 세태 풍자(諷刺) 등이 주로 노래된다.

정선아리랑의 사설 구성

아라리의 종류는 가장 늘어지게 부르는 긴 아라리, 이보다 경쾌하게 부르는 자진 아라리, 앞부분을 긴 사설(辭說)로 엮어 나가다가 나중에 늘어지게 부르는 엮음 아라리 등 세 가지이다. 긴 아라리는 여러 사람이 돌아가면서 노래를 부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후렴구(後斂句)는 일정하게 매번 불리는 것이 아니라, 때에 따라 가끔 한 번씩 노래되거나 전혀 노래가 되지 않는 때도 있다. 박자 구조는 3소박 3박자이며, 여덟 마디가 하나의 단위가 된다. 긴 아라리 자료를 인용하면 아래와 같다.

가 : 주7 주8를 딸라거든 청서듥으루 들구 임자 당신 만낼라거든 후연별단으루 들어요 나 : 못하는 주11 날 하라구 하니 여러분들 대우쩍으로 한 마대만 합니다 가 : 백수야 한산에 심불럭하니 몸으는 다 늙었는데 모발으는 왜 시나 나 : 백발이 오지 마라고 주12을 쌓더니 가시성은 어두루 가구야 백발만 왔네 가 : 정선으는 덕보가 있어도 구호미는 왜 타나 동면으는 약수가 있는데 사람으는 왜 죽나 나 : 오느네 백발은 손으루도 못 막고 저게 가는 저 청년으는 돈 주구두 못 사네 가 : 오늘 갈런지 내일에 갈런지 정수정망이 없는데 맨두라미 줄봉숭애는 왜 심어 놨나 나 : 여수나 믿었드라믄 천당이나 갈걸 이웃 김서방 믿다가 보니는 임시 낭패났구나 가 : 주17주16에 쌓였던 맘은 오늘날 저녁에 톡 털어 놨구나 나 : 삼베질쌈을 못 한다고 날 가라믄 가지요 아사 양궐련 막걸리 안 먹구 나는 못 살겠구나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 고양리 하신들 한광선(1928년생) · 박옥녀(1933년생), 『한국민요대전: 강원도민요해설집』)

자진 아라리의 가창 방식은 메기고 받는 선후창 방식이며, 주로 모를 심거나 밭을 맬 때 부르기 때문에 한 옥타브 이내에서 노래가 불린다. 관련 자료는 아래와 같다.

아우라지주20 뱃사공아 배 좀 건너 주게 / 싸리골 올동박이 다 떨어진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고개로 나를 넝겨주게 / 한치 뒷산에 곤두레 딱주기 나지메맛만 같더면 / 고곳만 뜯어먹어도 봄 한철은 살겠네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 고개로 나를 넘겨주게 우리가 살면은 한오야백년 살겠소 남듣기야 싫은 소리를 하지 말고 삽시다…… (강원도 정선군 북평면 장열1리 남봉옥, 『강원의 민요Ⅰ』)

엮음 아라리는 앞부분에서 긴 가사를 촘촘히 엮어 부르고, 후반부의 선율은 긴 아라리와 동일하다. 관련 자료는 아래와 같다.

우리집에 서방님은 잘났던지 못났던지 얽어매고 찍어매고 장치다리 주22에 네가지나무 지게에다 엽전석냥 걸머지고 강릉삼척에 소금사러 주23 굽이굽이 부디 잘 다녀오세요 사글치기 강냉이쌀에 삼모잽이 메물쌀은 이골치기 적두팥은 주먹겉은 통로구에 주24 끓는데 임자야 당신은 어디를 가실라구 버선신발 하셔요 (강원도 정선군 남면 유평2리 박봉옥, 『강원의 민요Ⅰ』)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전문 소리꾼들이 정선의 엮음 아라리를 세련되게 가다듬어 통속민요 정선아리랑을 만들었다. 그러므로 정선아리랑에는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부르는 통속민요와 향토민요가 있는 셈이다. 기존 노래와 구분하기 위해 통속민요 정선아리랑을 경기제 정선 엮음아리랑 또는 서울제 정선아리랑으로 부르기도 한다.

  1. 강원도 금강산 일만 이천봉 팔만구암자 주26 법당 뒤에 주28 도도뫃고 팔자에 없는 아들딸 낳아 달라고 석 달 열흘 노구에 정성을 말고 타관객리 외로이 난 사람 주30를 마라 아리랑 아리랑 아리리요, 아리랑 고갤 나를 넘겨주오

  2. 정선 읍내 물 나들이 주34 궁글대는 주35 물거품을 안고 비빙글 배뱅글 도는데, 이 임은 어딜 가고서 날 안고 돌 줄 왜 몰라 아리랑 아리랑 아리리요, 아리랑 고갤 나를 넘겨주오

  3. 임자 당신 나 싫다고 울치고 담치고 배추김치 소금 치고 열무김치 초 치고 칼로 물 벤듯이 그냥 싹 돌아서더니, 이천 팔십 리 다 못가서 왜 또 날 찾아왔나 아리랑 아리랑 아리리요, 아리랑 고갤 나를 넘겨주오.

  4. 네 칠자나 내 팔자나 주36 높은 집에 주37 주38 주39 주40 잣배게 훨훨 벗고 잠자기는 주41에도 영글었으니 오다가다 석침단금할까 아리랑 아리랑 아리리요, 아리랑 고갤 나를 넘겨주오

  5. 산적적 월황혼에 임 생각에 사무치어 주43 잠못일제 창 밖에 저 주44은 피나게 슬피 울고 무심한 저 구름은 달빛조차 가렸으니 산란한 이내 심사 어이 풀어 볼까 아리랑 아리랑 아리리요, 아리랑 고갤 나를 넘겨주오 (『한국가창대계』)

강원도 정선 지역에서 불리는 향토민요 정선아리랑은 긴 아라리 · 자진 아라리 · 엮음 아라리가 모두 불리지만, 경기 명창들이 부르는 통속민요 정선아리랑은 엮음 아라리만 부른다. 또한 향토민요에서는 엮음 아라리 후반부를 3소박 3박자의 규칙적인 박자로 부르지만, 경기 명창들이 부르는 정선아리랑은 부분적으로 특정한 음을 길게 늘이기도 하고, 박자의 들고나는 것이 자유롭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현수. 『우리소리의 맥을 찾아서』(민속원, 2008)

논문

강등학, 「<정선아라리>의 민요생태와 문화적 의미」(『한국민요학』 23, 한국민요학회, 2008)
김영운, 「아리랑 형성과정에 대한 음악적 연구」(『한국문학과 예술』 7,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2011)
이보형, 「아리랑소리의 근원과 그 변천에 관한 음악적 연구」(『한국민요학』 5, 한국민요학회, 1997)
이용식, 「강원도 아라리의 음악적 특징과 원형적 특징」(『한국민요학』 25, 한국민요학회, 2009)
주석
주1

그 지방 주민들만이 부르는 민요. 모심기 소리ㆍ상엿소리 따위가 있으며, 곡조나 사설이 즉흥적인 것이 특색이다. 우리말샘

주2

국악이나 민속 공예 따위에 기능을 지니고 있는 사람. 우리말샘

주3

여럿이 모여 노래를 부르는 판. 우리말샘

주4

남의 결점을 다른 것에 빗대어 비웃으면서 폭로하고 공격함. 우리말샘

주5

판소리에서, 창을 하는 중간중간에 가락을 붙이지 않고 이야기하듯 엮어 나가는 사설. 우리말샘

주6

노래 곡조 끝에 붙여 같은 가락으로 되풀이하여 부르는 짧은 가사의 구절. 우리말샘

주7

‘머루’의 방언 우리말샘

주8

다랫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며 톱니가 있다. 초여름에 흰 꽃이 피고 열매는 둥근 장과(漿果)로 가을에 누런 풀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식용하거나 약용한다. 깊은 산에서 자라는데 한국, 중국, 일본, 우수리강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9

민요의 가창 방식의 하나. 한 사람이 선창하면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후렴 따위를 이어 부르는 방식이다. 우리말샘

주10

어떤 음에서 완전 8도의 거리에 있는 음. 또는 그 거리. 물리학적으로는 진동수가 두 배가 되는 음정이다. 우리말샘

주11

강원도 정선 지방 민요의 하나. 창자(唱者)의 감정에 따라 전래의 메나리 가락에 맞추어 교환창으로 부르는 민요이나, 합창으로 부르기도 한다. 긴 사설을 빠른 가락으로 촘촘히 엮어 가다가 뒷부분에 높은 소리로 한가락 길게 뽑는 특징이 있다. 우리말샘

주12

가시나무로 친 울타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3

재해나 재난 따위로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기 위한 쌀. 우리말샘

주14

이 세상에서 예수를 믿은 사람이 죽은 후에 갈 수 있다는, 영혼이 축복받는 나라. 하나님이 지배하는 나라라고 본다. 우리말샘

주15

계획한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기대에 어긋나 매우 딱하게 됨. 우리말샘

주16

‘섣달’의 방언 우리말샘

주17

이십사절기의 하나. 대설(大雪)과 소한(小寒) 사이에 들며 태양이 동지점을 통과하는 때인 12월 22일이나 23일경이다. 북반구에서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다. 동지에는 음기가 극성한 가운데 양기가 새로 생겨나는 때이므로 일 년의 시작으로 간주한다. 이날 각 가정에서는 팥죽을 쑤어 먹으며 관상감에서는 달력을 만들어 벼슬아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19

‘길쌈’의 방언 우리말샘

주20

두 갈래 이상의 물이 한데 모이는 물목. 우리말샘

주21

배를 부리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22

꼬부라져 붙어 펴지 못하게 된 팔. 또는 팔뚝이 없는 팔. 우리말샘

주23

강원도 정선군 임계면에 있는 석회암 침식 지대. 돌리네, 종유굴 따위의 경관이 풍부하다.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천연기념물 정식 명칭은 ‘정선 백복령 카르스트 지대’이다. 우리말샘

주24

‘오글거리다’의 방언 우리말샘

주25

판소리나 잡가 따위를 아주 잘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26

강원도 고성군에 있는 절. 통일 신라 시대에 창건되었으며, 금동 석가여래 입상이 있다. 우리말샘

주27

절에서 불상을 모셔 놓고 불도를 닦으며 설법을 베푸는 장소. 우리말샘

주28

칠원성군을 모신 단. 우리말샘

주29

사람의 한평생의 운수. 사주팔자에서 유래한 말로, 사람이 태어난 해와 달과 날과 시간을 간지(干支)로 나타내면 여덟 글자가 되는데, 이 속에 일생의 운명이 정해져 있다고 본다. 우리말샘

주30

업신여겨 하찮게 대함. ⇒규범 표기는 ‘괄시’이다. 우리말샘

주31

읍의 구역 안. 우리말샘

주34

허풍을 잘 떠는 사람. 우리말샘

주35

밤낮으로 쉬지 아니하고 연달아. 우리말샘

주36

매우 크고 좋은 집. 우리말샘

주37

꽃 모양의 무늬. 우리말샘

주38

산등성이 비탈길에 굴 모양으로 길게 만든 가마. 우리나라에서는 초기 철기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한 가마의 기본적인 구조로, 오늘날에도 개량된 형태로 널리 쓰고 있다. 우리말샘

주39

솜이나 짐승의 털로 속을 넣고, 천으로 겉을 싸서 선을 두르고 곱게 꾸며, 앉는 자리에 늘 깔아 두는 두툼하게 만든 요. 우리말샘

주40

원앙을 수놓은 이불과 베개. 우리말샘

주41

오시의 첫 무렵. 우리말샘

주42

과실이나 곡식 따위가 알이 들어 딴딴하게 잘 익다. 우리말샘

주43

누워서 몸을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함. 우리말샘

주44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이다. 우리말샘

주45

‘산란하다’의 어근. 우리말샘

주46

마음속으로 생각하는 일. 또는 그 생각. 우리말샘

주47

노래를 뛰어나게 잘 부르는 사람.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