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요 ()

목차
관련 정보
구비문학
개념
사람들이 놀면서 부르는 노래.
내용 요약

유희요는 사람들이 놀면서 부르는 노래다. 놀이 시기 및 성격에 따라 세시유희요(歲時遊戲謠)와 일상유희요(日常遊戲謠)로 나눌 수 있다. 세시유희요는 그네 뛰는 소리, 널뛰는 소리, 윷놀이하는 소리, 줄다리기하는 소리 등이 있다. 일상유희요는 장기노래, 화투노래, 투전노래 등의 도구유희요, 쾌지나칭칭나네, 강강술래소리, 월월이청청소리 등의 무용유희요, 한글뒤풀이노래, 숫자풀이노래, 천자풀이노래 등의 언어유희요로 나뉜다.

목차
정의
사람들이 놀면서 부르는 노래.
유희요의 기능

유희요는 노동요의식요(儀式謠)와 함께 주1에 속한다. 노동요는 작업 능률(能率)을 올리며 일의 고됨을 덜기 위해, 의식요는 의례(儀禮)를 진행하면서 부르는 노래지만, 유희요는 놀이를 질서 있게 진행하며 놀이 자체를 흥겹게 하려고, 또는 승부에 이기기 위해 부른다.

유희요 분류

놀이 시기 및 성격에 따라 세시풍속(歲時風俗) 때 부르는 세시유희요(歲時遊戲謠)와 일상적으로 노래하는 일상유희요(日常遊戲謠)로 나눌 수 있다. 세시유희요는 주4 절기(節氣)에 놀이와 함께 부르는 경우가 많다. 「그네 뛰는 소리」 · 「널뛰는 소리」 · 「윷놀이하는 소리」 · 「줄다리기하는 소리」 · 「고싸움 하는 노래」가 있다. 이 중 단오(端午)를 맞아 여성들이 그네를 뛰면서 하는 소리를 인용하면 아래와 같다.

아부레이수나 / 오월이라 초단오날 / 상탕(上湯)에 목욕하고 / 중탕(中湯)에 세수하고 / 주7겉은 요 내머리 / 상탕에 감아 빗고 / 오복사 댕기 디리고야 / 어부레이수나 / 주황노 저고리 / 임물 통처마 갈아입고 / 어부레이수나 / 주9 벗어 노랑첨배기 / 담숙 갈아 신고 / 어부레이수나 / 근디나 그네나 밑에 가가주고 …… (경북 예천군 예천읍 통명리 양옥교(1918년생), 『한국민요대전: 경북민요해설집』)

위 인용문은 두 사람이 뛰는 쌍그네를 뛰면서 하는 노래로, 그네를 뛰는 현장의 상황이 묘사되었다. 자료에 따라 선후창(先後唱) 방식으로 그네뛰기 권유 및 유흥(遊興) · 연정(戀情)이 노래되기도 하였다.

일상유희요는 놀이 도구를 사용하여 놀며 부르는 도구유희요, 무용이나 몸짓이 위주의 놀이에서 부르는 주13, 사설(辭說)을 유희의 대상으로 삼아 진행되는 언어유희요로 나눌 수 있다. 먼저, 도구를 사용한 노래는 「장기노래」 · 「화투뒤풀이」 · 「투전노래」 등이 있다. 이 노래 중 「장기노래」와 「화투뒤풀이」를 인용하면 아래와 같다.

어려서 글 못 배우고 / 장성하여 활 못 쏘고 / 겨우 늦게 배운 것이 장기 뒤기를 배웠구나 / 날 일자 말 장운 / 쓸 용자 상 장운 / 좌초 우초 졸 장운 / 옆 졸 쓸고 차 나가니 / 공 것이 태반이고나 / 출출 명장이 쓸 데가 없네(전북 부안군 산내면 격포리 김응호, 『민초들의 옛노래』)

위 인용문의 주요 내용은 화자(話者)가 장기를 배우게 된 동기 및 과정, 장기 두기 묘사이다. 대부분의 「장기노래」에서는 각 장기 말이 소재로 활용된다.

다음은 「화투뒤풀이」이다.

정월이로다 정월 주20 달 나온데 학이나 한 쌍이 학이나 한 쌍이 우리 동무 손목잡고 꽃 기경가자 우리 동무 손목잡고 꽃 기경가자 꽃 기경가자 / 이월이로다 이월 주21 어찌하여 설한 강풍에 설한 강풍에 술짜 매자 꽃을 쪼자 열매 맺노라 / 삼월이로라 삼월 사그란 주24 눈 속에도 붉은 꽃피니 붉은 꽃 피네 우리 동무 손목잡고 꽃 기경가자 꽃 기경가자 / 사월이로다 사월 주25 좋은 열매 좋은 날가려 좋은 날가려 이싸리 저싸리 끊고 들고 꽃노래 가자 꽃노래 가자 …… (경북 의성군 비안면 자락리 박선조, 『비안현의 문화와 오늘의 삶』)

위 인용문에서는 달풀이 형식을 기반으로 유흥, 각 달에 핀 꽃 묘사, 임에 대한 그리움, 삶에 대한 만족감 등이 노래되었다.

여럿이 춤추며 하는 노래는 「쾌지나칭칭나네」 · 「강강술래소리」 · 「월월이청청소리」 · 「놋다리밟기소리」 · 「대문노래」 · 「돈돌날이)」 등이 있다. 여기서는 「강강술래소리」와 「월월이청청소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정월 대보름 또는 추석 때 부녀자(婦女子)들이 마당에서 강강술래 놀이를 하며 부르던 「강강술래소리」 중 긴소리를 인용하면 아래와 같다.

강강강 수월래 / 강강강 수월래 / 앞으로 보면 청산이요 / 강강강 수월래 / 뒤로 보면 녹수로다 / 강강강 수월래 / 녹수청강 흐르난 물에 / 강강강 수월래 / 빨래하는 저 처녀야 / 강강강 수월래 / 금을 주리 옥을 주리 / 강강강 수월래 / 저야 들이 만나갖고 / 강강강 수월래 / 해뜨드록 잠을 자니 / 강강강 수월래 / 해 떴다고 깨울소냐 / 강강강 수월래 / 열두가지 분바르고 / 강강강 수월래 / 열두가지 연지야 찍고 / 강강강 수월래 / 마주 앉아서 밥을 먹네 …… (전남 고흥군 도덕면 용정리 장예 박상금(1935년생), 『한국민요대전: 전남민요해설집』)

위 노래의 주요 내용은 현재 상황 묘사와 유흥이다. 가창자(歌唱者)는 긴소리를 부른 뒤 잦은소리 · 덕석몰이 · 고사리꺾기 · 기와밟기 등을 노래했다.

「월월이청청소리」는 앞소리꾼이 선창하면 뒤따르는 나머지 부녀자들이 후렴(後斂)]인 ‘월월이청청’을 외친다. 처음에는 느린 가락으로 길게 뽑으며 천천히 돌다가 흥이 차츰 고조되면서 점점 빠른 가락으로 변하면서 춤도 빠르게 변화된다. 전체놀이는 ‘토연 토연’ · ‘생금생금 생가락지’ · ‘달넘세(달람세)’ · ‘재바 재바’ · ‘절구세’ · ‘대문열기’ · ‘송아지따기’ · ‘재밟기’로 구성되어 있다. 「월월이청청소리」를 인용하면 아래와 같다.

생금 생금 생가락지 / 월워리청청 / 주37로 딲아내여 / 월워리청청 / 먼 데 보니 달일레라 / 월워리청청 / 주49에 보니 처잘레라 / 월워리청청 / 그 처재야 자는 방에 / 월워리청청 / 숨소리도 둘일레라 / 월워리청청 / 글소리도 둘일레라 / 월워리청청 / 오라바님 오라바님 / 월워리청청 / 이내 나로 죽거들랑 / 월워리청청 / 앞산에도 묻지말고 / 월워리청청 / 뒷산에도 묻지마고 / 월워리청청 / 연밭뚝에 묻어주소 / 월워리청청 / 연꽃이가 패거들랑 / 월워리청청 / 날 본듯이 봐여주소 / 월워리청청 / 굵은 비가 오거들랑 / 월워리청청 / 우장샛깟 덮어주소 / 월워리청청 …… (경북 영덕군 영덕읍 노물리 박분녀(1910년생), 『한국민요대전: 경북민요해설집』)

위 인용문은 여동생이 오빠로부터 이성 관계를 의심받자 스스로 목숨을 끊고 연꽃으로 환생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이 내용은 여성민요(女性民謠)의 하나로, 일을 할 때도 활용된다.

한글 · 요일 · 지명 등의 규칙적 나열이 특징인 언어유희요는 「한글뒤풀이」 · 「숫자풀이노래」 · 「천자풀이」 · 「성명풀이노래」 · 「요일풀이노래」 · 「지명풀이」」 · 「간지풀이노래」 등이 있다. 여기서는 「한글뒤풀이」와 「천자풀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갸 거겨 가련하다 임 얻어 거년 금년에 주64 / 고교 구규 고운 님을 눈에 걸고 구여운 정을 잊을손가 / 나냐 너녀 너 없이믄 나 못 살고 나 없이믄 너 못 살고 / 노뇨 누뉴 누로 더불어 해로헐까 / 다댜 더뎌 다자선생 꿈을 꾸니 독왕문이 적막한데 두견선생뿐이로다 / 라랴 러려 날아가는 원앙새 너를 보니 심사로다 느직느직이 땋은 머리 요내 몸만 졸르는가 …… (전북 임실군 삼계면 두월리 뒷골 김언례, 『한국민요대전 전북민요해설집』)

위 인용문에서는 한글 자음을 중심으로 임과의 이별로 인한 그리움, 고독한 현재 상황 등이 노래되었다.

다음으로 「천자풀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자시에 생천 불언행사시 유유피창 / 하늘 천(天) 축시에 주54 오행을 만나으니 양생만물 / 따 지(地) 유현미모 헉정승의 주56 / 감울 현(玄) 궁상각치우 동서남북 중앙토색 / 누러 황(黃), 천지광활 몇만린강 화류광활 / 집 우(宇) 연대국조 형망성쇠 왕고래금 / 집 주(宙), 우치형수 기자지여 형근구조 / 넙을 홍(洪) 세세군생 수역중 황급할황 거칠황(荒) 요순성덕 장할시구 취지연일 / 날 일(日) 억조창생 적양가 강구연월 / 달 월(月) 오거시서 백가여 적안영상 / 찰 영(盈) 방자야 해어찌 되였느냥 일중책 / 기울 책 이십팔수 하도락서 중성공진 …… (경남 울산광역시 울주군 웅촌면 은현리 신학수, 『울산울주지방민요자료집』)

가창자는 천자문(千字文)의 각 글자를 기준 삼아 인생무상(人生無常)을 한자 어투(語套)로 노래하였다. 노래는 4음보 연속체 독창(獨唱) 방식으로 구연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박경수, 『한국민요의 유형과 성격』(국학자료원, 1998)
정형호, 「천자풀이」(『양주별산대놀이』, 화산문화, 2001)
이창식, 『한국의 유희요』(집문당, 2002)
『한국민속문학사전: 민요』(국립민속박물관, 2013)
주석
주1

노동요, 의식요처럼 현실의 가창 상황에서 특별한 기능과 역할을 하는 민요. 노래 자체가 흥겨워서 부르는 비기능요와 구분된다. 우리말샘

주2

일정한 시간에 할 수 있는 일의 비율. 우리말샘

주3

행사를 치르는 일정한 법식. 또는 정하여진 방식에 따라 치르는 행사. 우리말샘

주4

한 해의 절기나 달, 계절에 따른 때. 우리말샘

주5

온천에서 물의 온도가 가장 높은 곳. 우리말샘

주6

온천에서 물의 온도가 중간쯤 되는 곳. 우리말샘

주7

삼을 묶은 단. 우리말샘

주8

길게 땋은 머리 끝에 드리는 장식용 헝겊이나 끈. 우리말샘

주9

생삼으로 거칠게 삼은 신. 우리말샘

주10

민요의 가창 방식의 하나. 한 사람이 선창하면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이 후렴 따위를 이어 부르는 방식이다. 우리말샘

주11

흥겹게 놂. 우리말샘

주12

이성을 그리워하고 사모하는 마음. 우리말샘

주13

몸동작이나 무용이 놀이의 중심이 되는 노래. 강강수월래나 놋다리밟기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14

늘어놓는 말이나 이야기. 우리말샘

주15

자라서 어른이 되다. 우리말샘

주16

이름난 장수. 우리말샘

주17

이야기를 하는 사람. 우리말샘

주19

음력으로 한 해의 첫째 달. 우리말샘

주20

화투에서, 솔잎 모양이 그려져 있는 화투장. 1월이나 한 끗을 나타낸다. 우리말샘

주21

화투에서, 매화가 그려져 있는 화투장. 2월이나 두 끗을 나타낸다. 우리말샘

주22

눈이 내리는 때나 내린 뒤에 닥치는 추위. 우리말샘

주23

매자나무의 열매. 우리말샘

주24

화투에서, 벚꽃이 그려져 있는 화투장. 3월이나 세 끗을 나타낸다. 우리말샘

주25

화투에서, 검은 싸리를 그린 화투짝. 4월이나 네 끗을 나타낸다. 우리말샘

주26

경상북도 안동ㆍ의성 등지에서 음력 정월 보름밤에 부녀자들이 하는 민속놀이의 하나. 부녀자들이 한 줄로 서서 허리를 굽히고 앞사람의 허리를 안아 다리를 만들면 공주로 뽑힌 여자가 노래에 맞추어 등을 밟고 지나간다. 우리말샘

주28

음력 정월 보름날을 명절로 이르는 말. 새벽에 귀밝이술을 마시고 부럼을 깨물며 약밥, 오곡밥 따위를 먹는다. 우리말샘

주29

풀과 나무가 무성한 푸른 산. 우리말샘

주30

맑은 물. 우리말샘

주31

화장할 때에 입술이나 뺨에 찍는 붉은 빛깔의 염료. 우리말샘

주32

노래를 부르는 사람. 우리말샘

주33

결혼한 여자와 성숙한 여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4

앞소리를 메기는 사람. 우리말샘

주35

맨 먼저 주창하다. 우리말샘

주36

노래 곡조 끝에 붙여 같은 가락으로 되풀이하여 부르는 짧은 몇 마디의 가사. 우리말샘

주37

쓸데없이 손을 놀려서 하는 장난. ⇒규범 표기는 ‘손장난’이다. 우리말샘

주38

편지나 소식 따위가 딱 끊어짐. 우리말샘

주39

이해의 바로 앞의 해. 우리말샘

주40

지금 지나가고 있는 이해. 우리말샘

주41

‘귀엽다’의 방언 우리말샘

주42

가엾고 불쌍하다. 우리말샘

주43

부부가 한평생 같이 살며 함께 늙다. 우리말샘

주44

고요하고 쓸쓸하다. 우리말샘

주45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집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천연기념물이다. 우리말샘

주46

오릿과의 물새. 몸의 길이는 40~45cm이고 부리는 짧고 끝에는 손톱 같은 돌기가 있다. 수컷의 뒷머리에는 긴 관모가 있고 날개 안의 깃털은 부채꼴같이 퍼져 있다. 여름 깃은 머리와 목이 회갈색, 등은 감람색, 가슴은 갈색 바탕에 흰 점이 있다. 여름에는 암수가 거의 같은 빛이나 겨울에는 수컷의 볼기와 목이 붉은 갈색, 가슴이 자주색이다.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천연기념물 정식 명칭은 ‘원앙’이다. 우리말샘

주47

어떤 일에 대한 여러 가지 마음의 작용. 우리말샘

주48

동작이 아주 굼뜨게. 우리말샘

주49

‘곁’의 방언 우리말샘

주50

‘오라버님’의 방언 우리말샘

주51

십이시(十二時)의 첫째 시. 밤 열한 시부터 오전 한 시까지이다. 우리말샘

주52

한 번도 쓴 적이 없는 새 천. 우리말샘

주53

십이시(十二時)의 둘째 시. 오전 한 시부터 세 시까지이다. 우리말샘

주54

도(道)를 스스로 깨닫다. 우리말샘

주55

우주 만물을 이루는 다섯 가지 원소. 금(金), 수(水), 목(木), 화(火), 토(土)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56

사신(四神)의 하나. 북쪽 방위를 지키는 신령을 상징하는 짐승을 이른다. 거북과 뱀이 뭉친 모습으로 형상화하였다. 우리말샘

주57

동양 음악에서, 오음의 각 이름. 우리말샘

주58

고대 중국의 요임금과 순임금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59

덕성(德性)을 이룸. 또는 그 덕성. 우리말샘

주60

수많은 백성. 우리말샘

주61

번화한 큰 길거리에서 달빛이 연기에 은은하게 비치는 모습을 나타내는 말로, 태평한 세상의 평화로운 풍경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3

말을 하는 버릇이나 본새. 우리말샘

주64

편지나 소식 따위가 딱 끊어지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