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뒤풀이

목차
구비문학
작품
한글의 자모 순서에 따라 말을 만들어가며 말놀이하는 동요.
이칭
이칭
언문뒤풀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한글의 자모 순서에 따라 말을 만들어가며 말놀이하는 동요.
내용

어희요(語戱謠)의 하나로, ‘가갸뒤풀이·국문뒤풀이·언문뒤풀이·가갸풀이·국문풀이·언문풀이’라고도 한다.

곧, ㄱㄴㄷ 혹은 가갸거겨의 순서에 따라서 말을 꾸며나가고, 거침없이 외어나가는 데에 흥취를 느끼며 전승된다. 「이고사본춘향전(李古寫本春香傳)」·『신구잡가(新舊雜歌)』·「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에도 드러나는 것으로 보아 오래 전부터 전승된 듯하다.

“가나다라 마바사아 ㄱㄴㄷㄹ/ㄱ자로다 집을 짓고/ㄴ자로다 테를 달어/지긋이 지긋이/한백년 사잤더니/인연이 없어 못살겠네/가갸거겨/가이없는 이내몸이/거지없이 되었구나/고교구규/고생하는 우리낭군 구곤하기가 짝이없네/…….”(경기도 파주)

이 민요의 형태는 남편을 멀리 떠나보낸 여인들의 애달픔을 노래하는 100음보 이상의 기다란 사설이 원형인 듯하나, 불과 10음보쯤의 단형의 것도 있다.

참고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8)
『한국민요집』Ⅰ∼Ⅳ(임동권, 집문당, 1961∼1979)
『조선민요연구』(고정옥, 수선사, 1949)
『조선구전민요집(朝鮮口傳民謠集)』(김소운, 제일서방, 193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