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깨소리

목차
구비문학
작품
말뚝을 박으면서 부르는 민요.
이칭
이칭
말뚝박는 노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말뚝을 박으면서 부르는 민요.
내용

경상북도 지방에서는 ‘망깨’라고 하는 쇳덩이를 들어올려 말뚝을 박는데, 이 민요를 ‘말뚝박는 노래’라고도 한다. ‘망깨’에 여러 가닥의 줄을 달아서 여럿이 그 줄을 당겼다가 놓는 일을 되풀이하면 말뚝이 박히는데, 민요의 구연은 작업의 동작과 밀착된다.

민요는 선후창(先後唱) 형식으로 구연되는데, 앞사람이 사설을 메기고 뒷사람이 후렴을 받아 합창한다. 지루하고 벅찬 일을 치르기 위하여 흥미로운 사설이 길게 따르는데, 그 사설은 고정되지 않아서 회심곡이 끼어들기도 한다.

어이어라 치어나

어이어라 치어나

천근아망깨는 공중에서놀고

어이어라 치어나

열두자말목은 용왕국들어가네

어이어라 치어나

좌중에오시나 손님네요

어이어라 치어나

줄많이땡기면 돈많이준다네

어이어라 치어나 (이하 생략)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지전리)

사설은 2음보 1행으로 이루어져 있고 단조로운 노동과 결부되는 민요이지만 민요의 원초적 형태로 꼽을 수 있다. 빠른 6박장단으로 되어 있고, 선율의 구성음은 편의상 서양음악의 계이름에 의하면 ‘미·솔·라·도·레’의 5음 음계로 불려지는 단순한 형식의 민요이다.

참고문헌

『한국구비문학대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1986)
『한국민요집』Ⅰ∼Ⅵ(임동권, 집문당, 1961∼1978)
『경북민요』(조동일, 형설출판사, 1977)
「민요와 기능과 사설」(김영돈,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