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상회방연가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철종 때 해평윤씨(海平尹氏)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가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철종 때 해평윤씨(海平尹氏)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가사.
구성 및 형식

철종 때 원로 정치인이었던 경산(經山) 정원용(鄭元容)의 둘째 며느리의 친가 언니인 해평윤씨가 정원용의 회방연을 보고 지은 것으로 알려진 송축가사이다. 작품 제목의 정승상은 영의정을 지낸 정원용을 지칭하는 것이고, 회방연은 문과 급제의 방(榜)이 붙은 이후 60주년 곧 1주갑이 된 것을 기념한 잔치라는 뜻이다.

현황

현재 전하는 이본이 많은데, 그 중에 가장 믿을 수 있는 이본은 그 후손가에 전해 오는 『뎡상공희방긔록』 속에 들어 있는 전반부의 가사 부분이다. 필사되어 전하는 「정승상회방연가」라는 작품들은 전사되는 과정의 난필과 오기들로 문맥 불통의 곳이 많다. 이 『뎡상공회방긔록』은 전반부에 제목이 없이 이 가사가 실려 있고, 그 뒤에는 "임술 삼월 이십 이일 회방 슈궤쟝 ᄉᆞ은 진젼 연셜(壬戌三月二十二日回榜受 杖謝恩進箋筵說)"이라는 글이 부록되어 있다.

내용

형식은 4음보 1행을 기준으로 모두 153행이며, 이 작품은 내용과 형식으로 보아 전형적인 조선 후기 가사이다.

“천지 만물 뎡ᄒᆞᆫ 후의/인간이 삼겻ᄂᆞ니,/상하 귀쳔 ᄇᆞ라기ᄅᆞᆯ/슈부귀 다남ᄌᆞ를/긔 아니 바라ᄂᆞᆫ가”로 시작하여, “친구ᄌᆡ샹 명ᄉᆞ들과 /친○ 벗님 션ᄇᆡ들은/글 지어 치하ᄒᆞ고/ᄇᆡᆨ셩 여념 샹인들은/ 귀경ᄒᆞ고 충챤ᄒᆞ되/무식ᄒᆞᆫ 녀ᄌᆞ들은/ᄇᆡ혼 것시 기억 니은/무엇스로 치하ᄒᆞᆯ고/가쇼롭고 긔귀ᄒᆞ다/노ᄅᆡ쳐럼 ᄡᅳ고 보니/보시ᄂᆞ니 용서ᄒᆞ여/흉보지ᄂᆞ 마오소셔.”로 끝맺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의 내용적 특징은 정경산이 20세 때인 1802년(순조 2) 합사경(合四慶)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뒤, 60년 후인 1862년(철종 13) 3월 22일 현직 영의정으로 철종의 치하와 어제시까지 하사받은, 매우 드문 부귀영화를 누리는 정경산을 송축한 것이다.

참고문헌

「정상공회방기록에 대하여」(정양완, 『연민이가원박사육송수기념논총』, 동간행위원회,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