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동희 ()

법제·행정
인물
대한제국기 의정부찬정, 농상공부대신, 규장각경 등을 역임한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이칭
이칭
유선(有先)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56년(철종 7) 8월 4일
사망 연도
1934년 5월 26일
본관
양주(楊州)
출생지
서울
정의
대한제국기 의정부찬정, 농상공부대신, 규장각경 등을 역임한 관료. 친일반민족행위자.
개설

본관은 양주(楊州)이고, 자는 유선(有先)이다. 영의정을 지낸 조두순(趙斗淳)의 손자로, 조병섭(趙秉燮)의 아들이며, 조병집(趙秉集)에게 입양되었다.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농상공부 대신에 이르렀다. 일제 강점 후 남작 작위를 받았다가 ‘가자 분산(家資分散)’의 이유로 조선귀족 예우 정지와 해제를 반복하였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56년 8월 4일 서울에서 출생하였다. 1876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가주서(假注書)가 되었고, 1877년 9월 홍문관 부수찬·규장각 직각(奎章閣直閣)·남학 교수(南學敎授)·병조정랑, 10월 어영 종사관(御營從事官), 12월 훈국 종사관(訓局從事官)과 사간원 헌납에 임명되었다. 1879년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고, 1880년부터 예조참의·승정원 동부승지에 이어 우부승지·우승지·좌승지를 거쳐 도승지를 역임하였다. 1883년 참의군국사무(參議軍國事務), 1886년 성균관 대사성, 1887년 참의내무부사(參議內務府事)를 거쳐 1889년 가선대부(嘉善大夫)가 되어 형조 참의·협판 내무부사·한성부 우윤·예조 참판·이조 참판를 역임하였고, 호조 참판·검교 겸 보덕(檢校兼輔德)에 임명되었다. 1891년 정부 당상(政府堂上), 1892년 중추부 동지(中樞府同知), 1893년 공조 참판, 1897년 비서원경(秘書院卿)·궁내부 특진관에 올랐다.

1903년 산릉도감 제조(山陵都監提調)·장례원경(掌禮院卿)·사직서 제조(社稷署提調)·경효전 제조(景孝殿提調)를 맡았다. 1904년 의정부 찬정(議政府贊政)·원소도감 제조(園所都監提調)·순명비궁 만장제술관(純明妃宮輓章製述官), 1905년 9월 농상공부 대신, 1907년 11월 규장각경(奎章閣卿)이 되었다. 1909년 1월 순종황제가 서남순행(西南巡幸)을 할 때 호종을 하고 종1품 숭정대부에 올랐다.

1907년 3월 통감부의 유림 회유정책에 편승하여 전직 고위관리를 중심으로 조직한 유교단체 대동학회의 평의원이 되었고, 1908년 2월 대동학회에서 설립한 대동전문학교 찬무원을 맡았다. 안중근 의거 직후인 1909년 10월 30일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의 송덕비 건립 취지서를 발간하였다.

일제 강점 이후 일본 정부로부터 한일합병에 관한 공로를 인정받아 1910년 10월 7일 발표된 남작 작위 수여 대상자에 포함되었다. 그에 따라 1911년 1월 13일 조선총독부에서 열린 은사공채권 교부식에 참석하여 일본 정부로부터 2만 5천원의 은사공채를 받았고, 같은 해 2월 22일 총독관저에서 열린 작기 본서 봉수식(爵記本書奉授式)에 참석하였다. 또 1912년 8월 1일 일본 정부로부터 한국병합기념장을 받았고, 12월 정5위에 서위(敍位)되었으며, 1915년 11월 10일 다이쇼[大正]대례기념장을 받았다.

1916년 가자 분산(家資分散)으로 「조선귀족령」 제8조에 의거하여 조선귀족 예우가 정지되었다가 1917년 변채 복권(辨債復權)으로 조선귀족 예우 정지가 해제되었다. 1918년 3월 28일 경성지방법원에서 ‘가자 분산’을 선고받고 이것이 경성부에 보고되어 4월 7일 호적에 조선귀족 족칭 상실이 기재되었다. 제적등본에는 1918년 기재된 호적상 ‘조선귀족 족칭상실 기재’는 착오이므로 법원의 허가를 얻어 1931년 9월 17일 이를 말소하고 호적에 조선귀족의 족칭을 다시 기재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처럼 조선귀족 예우 정지와 해제 과정을 거치며 1934년 사망 당시까지 작위를 유지하였다. 1930년 1월 조선귀족을 구제하기 위해 설립된 창복회(1929년 9월 28일 설립)로부터 1월분 교부금 150원을 지급받았다. 1934년 5월 26일 사망하여 그의 남작 작위는 같은 해 7월 2일 양자 조중헌이 세습하였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순종실록(純宗實錄)』
『매일신보(每日申報)』
『조선총독부관보(朝鮮總督府官報)』
『친일인명사전』(민족문제연구소, 2009)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16(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현대문화사, 2009)
집필자
최재성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