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둥[柱]마다에 시구를 연하여 걸었다는 뜻에서 주련이라 부른다. 좋은 글귀나 남에게 자랑할 내용을 붓글씨로 써서 붙이거나 그 내용을 얇은 판자에 새겨 걸기도 한다.
판자 아래위로 하엽(荷葉)을 양각(陽刻)하든지 연꽃을 새기든지 당초무늬를 새기든지 하여 윤곽을 정리하고 그 가운데에 글귀를 적어 새김질한다.
글씨의 윤곽만 새기는 기법을 쓰는 것이 보편적인 방식이다. 더러 튀어나오도록 양각하는 수도 있으나 드문 일이다. 양각한 부분과 새김질한 글씨에 색을 넣어 장식한다.
판자 전체에는 보통 밀타승(蜜陀僧)을 발라 하얗게 만들고, 글씨에는 먹을 넣든지 군청(群靑)을 가칠하고, 양각한 무늬들은 삼채(三彩) 정도로 단청하여 화려하게 꾸미기도 한다.
살림집 안채에서는 안마당을 향한 기둥에 주련을 거는데, 생기복덕(生氣福德)을 소원하는 내용이나 덕담(德談)의 글귀를 필치 좋은 사람에게 부탁하여 받아 건다. 더러는 아이들의 인격함양을 위한 좌우명이나, 수신하고 제가하는 데 참고가 되는 좋은 시를 써서 걸기도 한다.
사랑채의 기둥에는 오언이나 칠언의 유명한 시나 자작한 작품을 써서 건다. 한 구절씩을 적어 네 기둥에 걸면 시 한 수가 된다. 주련은 경치 좋은 곳에 세운 누사(樓榭)나 여타의 다락집, 불교의 법당 등에도 건다. 다락에서 내려다보이는 좋은 경개(景慨)를 읊은 시가 주련에 채택되고, 포교를 위한 부처님의 말씀을 주련에 새긴다.
이들 주련이 기둥 바깥쪽에 달려 있어서 다락이나 법당 안의 사람 눈에는 보이지 않는다. 사람보다는 자연이 보고 읽어달라는 고지(誥知)의 생각이다. 길가의 패루(牌樓)나 정려 등에 주련을 걸어 주인공을 선양하는 일도 이런 데서 연유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