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령문집 ()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윤의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윤의정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14년에 간행한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14년 윤의정의 8대손 윤여형(尹汝衡)이 유문(遺文)을 수습하여 10대손 윤희세(尹熙世) 등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세계도가 있고, 권말에 윤여형과 윤희세의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4권 2책. 석인본. 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연세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내용

권1에 부(賦) 3편, 시 59수, 권2에 시 75수, 권3에 서(書) 2편, 잡저 11편, 서(序) 2편, 기(記) 5편, 묘갈명 1편, 권4에 부록으로 방회록서(榜會錄序)·설월당통방록(雪月堂通榜錄)·봉안문·축문·고유문·선성읍지(宣城邑誌)·유사·묘갈명·풍영대기(風詠臺記)·풍영대명(風詠臺銘) 등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 가운데 「여이상공시발(與李相公時發)」은 조보(朝報)에 일본과 화의한다는 기사가 실린 것을 보고 당시의 정승인 이시발에게 보낸 편지로, 조정에서 동료와 함께 화의설을 제거하는 데 힘써 달라는 내용이다.

잡저의 「속양절반씨역대총론(續陽節潘氏歷代總論)」은 양절 반씨의 역대 총론을 부연하여 설명한 것이다. 그 내용은 천하를 다스리는 데에는 도(道)가 있고 법(法)이 있고 근본이 있으니, 그것은 곧 명명덕(明明德)·신민(新民)·지어지선(止於至善)이라고 하고, 상고에서부터 당송(唐宋)에 이르기까지 역대 제왕의 흥망에 대한 까닭을 총론한 글이다.

「의청출납곡구관인전(擬請黜納穀求官人箋)」은 임진왜란 때 곡식을 바치고 벼슬을 받은 사실을 비판하고, 그렇게 벼슬을 얻은 인물은 조정에서 몰아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이다. 「정순상문(呈巡相文)」은 1602년 마곡서당(磨谷書堂)을 창건할 때 순찰사에게 서당을 짓는 데 힘이 부족하니 도와 달라는 내용으로 올린 것이다.

기에는 경상도 관찰사로 있던 홍이상(洪履祥)의 청을 받아들여 지은 「영남루기(嶺南樓記)」가 있다. 그밖에 향교에 관련된 글들과 저자가 편찬한 안동의 읍지가 수록되어 있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