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가 ()

고전시가
작품
조선 중기에 김려(金礪)가 지은 단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중기에 김려(金礪)가 지은 단가.
구성 및 형식

형식은 삭대엽 일반 형식에 비하여 제3구가 2배로 늘어난 편삭대엽(編數大葉)에 속한다.

내용

김려는 지금의 전라남도 나주군 노안면 금안리 부근의 용산(龍山)에 용암(龍庵)이라는 누정을 짓고 은거하였다. 이 작품은 「용산가(龍山歌)」·「귀거래사(歸去來辭)」 등의 단가 작품과 함께 그 곳에서 지은 것이다.

1914년에 그의 후손 기우(基禹)가 간행한 『서원연고(瑞原聯稿)』 권2 부록 말미에 ‘번곡(翻曲)’이라 분류된 작품 유형의 하나로 실려 있다.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면만황조(綿蠻黃鳥)여 // 지우구우(止于丘隅)로다 // 어지(於止)에 지기소지(知其所止)ᄒᆞ니 / 가이인(可以人)이 불여조호(不如鳥乎)아 / 택불처인언득지(擇不處仁焉得智)ᄂᆞᆫ / 공자(孔子) 이라신 말삼 안니가 // 두어라 // 색사거의(色斯擧矣)ᄒᆞ니 원득기소(爰得其所)ᄒᆞᆯ가 ᄒᆞ노라”

『시경』 소아(小雅)의 면만시(綿蠻詩)와 『논어』「이인편(里仁篇)」·「향당편(鄕黨篇)」에 나오는 말을 인용하는 가운데 ‘사람의 나아가고 물러감이 새만 같지 못해서야 되겠느냐’고 깨우쳐 이르는 내용을 담았다.

참고문헌

『서원연고(瑞原聯稿)』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