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양장단 (진양)

국악
개념
판소리 · 산조, 전라남도의 무가 등에 쓰이는 6박 장단.
이칭
이칭
진양조, 진양, 진양조장단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진양장단은 판소리·산조, 전라남도의 무가 등에 쓰이는 6박 장단이다. 판소리와 산조에 쓰이는 장단 중 가장 느린 장단이다. 진양장단은 빠르기에 따라 달리 부르기도 하는데, 느린 것은 느린진양, 조금 느린 것은 평진양, 보통 빠른 것은 자진진양 또는 세마치라 부른다.

목차
정의
판소리 · 산조, 전라남도의 무가 등에 쓰이는 6박 장단.
특징

진양장단은 판소리산조 등에 쓰이는 장단이며, 6박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진양장단은 판소리와 산조에 쓰이는 장단 중 가장 느린 장단인데, ‘진양’의 ‘진’은 ‘시간이 길다’의 의미인 ‘긴’의 호남 지역 방언에서 온 것으로, 이 장단의 한배가 매우 느리기 때문에 붙은 장단 이름이다. 진양장단은 빠르기에 따라 구분해서 부르기도 하여서, 한배가 느린 것은 느린진양, 조금 느린 것은 평진양, 보통 빠른 것은 자진진양 또는 주1라 부른다.

진양장단은 주2의 극적 내용에 따라 장단이 정해지는 판소리의 경우 《춘향가》 중 〈적성가〉와 같이 경치를 찬찬히 묘사하거나 《심청가》 중 〈범피중류〉와 같이 주5 바다를 묘사하는 장면 등에 쓰인다. 그리고 산조에서는 진양장단이 연주가 시작되는 첫 장단으로 쓰이는데, 이는 산조가 느린 장단으로 시작해서 점점 빠른 장단으로 연주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이다.

형성

진양장단은 판소리가 처음 형성된 18세기 중엽에는 판소리 장단으로 쓰이지 않다가 19세기에 들어와서 판소리 장단으로 수용되었다. 정노식이 쓴 『조선창극사』에 따르면, 진양장단은 19세기 전반기 주6인 김성옥이 창안하고 김성옥과 처남 매부 사이인 대명창 송흥록이 이를 다듬어서 판소리 장단으로 정착시켰다고 한다. 하지만 전라남도 서남부 지역의 무가〈육자배기〉 등의 남도 민요에도 6박 장단이 쓰였던 것으로 미루어 김성옥과 송흥록이 기존에 없던 장단을 새로 창조한 것은 아니고, 기층음악인 무가]와 민요에 쓰이던 6박 장단을 판소리에 맞게 진양장단으로 발전시킨 것을 알 수 있다. 19세기에 진양장단이 판소리에 수용됨으로써 판소리 창자들은 이야기의 극적 내용에 맞는 음악적 표현을 더 풍부히 할 수 있게 되었고, 이후 판소리는 보다 표출력이 뛰어난 공연 예술로 자리 잡을 수 있었다.

박 구성

진양장단은 6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칙적으로 4박+2박의 구조로 되어 있다. 1박이 3소박으로 구성된 3소박 6박 진양장단의 장단꼴을 정간보에 장구 부호로 기보하면 다음과 같다.

[삽화] 진양장단 1
진양장단 1

그런데 판소리와 산조의 진양장단은 판소리 사설이나 산조의 선율에 따라 3각 내지 5각을 주기로 하여 하나의 단락을 이룬다. 고수는 진양장단으로 된 곡을 반주할 때 매번 같은 장단꼴로 반주하지 않고 판소리나 산조의 선율 구성에 따라 ‘내고, 달고, 맺고, 푸는’ 장단꼴을 적절히 응용하여 반주한다. 예를 들어서 진양장단의 단락이 시작되는 각의 제1박에서는 주9을 쳐서 시작되는 선율의 흐름에 맞게 반주하고, 선율이 맺어지는 각의 제5박에서는 ‘딱’ 하고 강하게 세(勢)를 주어 치며, 단락을 마치는 각의 제5∼6박에서는 ‘궁/궁’ 혹은 ‘구궁/궁’ 하고 풀어주어서 판소리나 산조의 선율 흐름에 호응해 주는 것이다.

[삽화] 진양장단 2
진양장단 2

판소리 고수 오성삼(1866∼1936)은 “진양장단은 4각 단위로 ‘내고, 달고, 맺고, 풀어주는 기(起) · 경(景) · 결(結) · 해(解)’에 맞게 쳐야 한다”는 판소리 주10 이론을 주장하여 한때 24박론이 유행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판소리와 산조 중 진양장단으로 된 대목의 선율이 항상 기(起) · 경(景) · 결(結) · 해(解)에 딱 맞게 4각 단위로 짜이는 것은 아니므로, 실제 연주에서는 한 단락이 3∼5각 단위로 구성된 판소리나 산조의 선율에 맞게 고수가 적절히 ‘내고, 달고, 맺고 풀어주는’ 장단꼴로 반주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보형, 「판소리고법(1)」(『문화재』 10, 문화재관리국, 1976)
이보형, 「판소리고법(2)」(『문화재』 11, 문화재관리국, 1977)
정노식, 『조선창극사』(조선일보사, 1940)

논문

김혜정, 「전라도굿에 나타난 6박 사용양상과 음악적 의미」(『남도민속연구』 24, 남도민속학회, 2012)
김혜정, 「판소리장단의 형성과 오성삼의 고법이론」(『판소리연구』 17, 판소리학회, 2004)
이보형, 「창우집단의 광대소리 연구-육자배기토리권의 창우집단을 중심으로-」(『한국전통음악논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0)
주석
주1

판소리에 쓰이는 세마치장단은 6박 구성의 장단이므로 3박으로 구성된 민요의 세마치장단과 이름만 같을 뿐 다른 장단이다.

주2

늘어놓는 말이나 이야기. 우리말샘

주3

판소리 열두 마당의 하나. 고전 소설 <춘향전>을 바탕으로 한 판소리로, 현재까지 전해 내려오는 판소리 다섯 마당 가운데 하나이다. 우리말샘

주4

판소리 열두 마당 가운데 하나. 고전 소설 <심청전>을 바탕으로 한 판소리로, 효녀 심청의 효행에 관한 노래로 창법은 계면조가 많다. 우리말샘

주5

넓고 멀다. 우리말샘

주6

뛰어나게 잘 부르는 노래. 우리말샘

주7

무당의 노래. 우리말샘

주8

조선 세종 때에, 소리의 길이와 높이를 정확히 표시하기 위하여 만든 악보. ‘井’ 자 모양으로 칸을 질러 놓고 율명(律名)을 기입하였다. 우리말샘

주9

장구나 북에서, 손으로 치는 왼쪽 가죽면. 우리말샘

주10

판소리에서 북을 치는 방법.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성기련(서울대학교 음악대학)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