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문학사 ()

고려시대사
제도
고려 후기, 첨의부(僉議府)의 종2품 관직.
제도/관직
설치 시기
1275년(충렬왕 1)
폐지 시기
1290년(충렬왕 16)
소속
첨의부
내용 요약

참문학사는 고려 후기, 첨의부(僉議府)의 종2품 관직이다. 1275년(충렬왕 1)에 관제 개편에 따라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참문학사로 개칭하였다. 1290년(충렬왕 16)에 참문학사에서 다시 정당문학으로 개칭하였다. 그 명칭에 ‘문학’이 있듯이 첨의부에서 문학을 주로 하여 의정 기능을 맡아 보았다.

정의
고려 후기, 첨의부(僉議府)의 종2품 관직.
설치와 운영

1275년(충렬왕 1)에 원나라의 강요에 따라 고려는 관제를 격하시켰다.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상서성(尙書省)을 합하여 첨의부(僉議府)라고 하였다. 관제를 개편하면서 이전의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참문학사로 개칭하였다.

정당문학은 중서문하성의 상층부를 이루는 재부(宰府)에 소속된 종2품의 관원이었다. 재부를 구성한 중서령문하시중, 평장사, 참지정사, 주1 등과 더불어 재신(宰臣)의 일원이었다. 1290년(충렬왕 16) 참문학사에서 본래의 이름으로 되돌려 다시 정당문학이라 하였다. 참문학사를 역임한 인물로는 1275년(충렬왕 1)에 김구(金坵), 1276년(충렬왕2)에 유천우(兪千遇), 1278년(충렬왕 4)에 박항(朴恒), 1280년(충렬왕 6)에 허공(許珙) 등이 있었다.

임무와 직능

참문학사는 관직의 명칭을 고치기 이전 정당문학의 직능을 계승하였다. 정당문학은 재신의 일원으로서 주2 기능을 담당하였다. 관직명에 나타나듯이 주3, 즉 재부에서 문학을 주로 맡았다. 참문학사도 첨의부에서 문학에 의거하여 의정이 바른 길로 나아가게 하는 활동을 담당하였다.

문학과 관련된 직능을 맡았기 때문에 과거 급제자가 그 직위에 임명되었다. 충렬왕 대 참문학사에 임명된 김구, 유천우, 박항, 허공도 모두 과거 급제자였다. 김구의 경우 당대 이름난 문장가였던 최자(崔滋)로부터 그가 쓴 문장에 가필할 것이 없다는 탄복을 받았다. 문장과 학문적 능력을 바탕으로 직임을 수행한 것이다.

변천 사항

고려사(高麗史)』 백관지(百官志)에 따르면 충선왕이 정당문학을 혁파하였다가 뒤에 다시 설치하였다. 정당문학을 혁파한 시기는 1308년(충렬왕 34)으로 추정된다. 원나라에 머물며 고려의 실권을 장악한 충선왕이 그 해 5월과 6월에 관제를 개혁하는데, 이때 정당문학에 대한 혁파도 이루어졌을 것이다. 그러다가 1321년(충숙왕 8)에 정당문학을 임명한 사례가 보이므로 그때 또는 그보다 앞선 시기에 다시 설치한 것으로 추정된다. 참문학사의 직명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원전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단행본

박용운, 『"고려사" 백관지 역주』(신서원, 2009)
박용운, 『고려시대 중서문하성 재신 연구』(일지사, 2000)
변태섭, 『고려정치제도사연구』(일조각, 1971)

논문

박용운, 「고려시대의 정당문학에 대한 검토」(『한국사학보』 7, 고려사학회, 1999)
주석
주1

고려 시대에, 중서문하성에 속한 종이품 벼슬. 문종 때 정하였으며 뒤에 지첨의부사로 고쳤다가 다시 지도첨의사, 지문하부사 등으로 고쳤다.    우리말샘

주2

‘의회 정치’를 줄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3

지방의 관아.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