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암일고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강봉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3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문신 · 학자, 강봉수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73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5권 1책. 연활자본. 1973년 후손 태영(泰永)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유석우(柳奭佑)의 서문이, 권말에 후손 현주(顯周)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3에 시 151수, 권4에 시 11수, 부(賦) 1편, 권5에 부록으로 군유생상소초(郡儒生上疏草)·예조순영관문주읍(禮曹巡營關文州邑)·서원사적(書院事蹟)·행적초(行蹟抄)·묘갈명·교지(敎旨) 등이 수록되어 있다. 저자의 유문은 임진·정유년의 왜란을 거치면서 많이 산실되어, 이 문집에는 시가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시의 「목동가(牧童歌)」에서는 목동이 망아지를 타고 산모퉁이를 지나노니 안개가 자욱하여 사람은 보이지 않고 바람결에 대금소리만 들린다 하였고, 「문촉조(聞蜀鳥)」에서는 두견새 우는 소리에 늙어가는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며 느낀 쓸쓸한 감회를 읊었다.

또한, 「퇴휴(退休)」에서는 오마(五馬)의 공명(功名)이 꿈 속에 사라지고 석실(石室)에 돌아오니 너무나 쓸쓸하다 하며 낚시질하고 나물캐며 즐겁게 살겠다고 토로하였다. 부록의 글들을 통하여 저자의 일생 및 행적을 살필 수 있다.

집필자
신동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