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권 1책. 석인본. 1978년 현손 환덕(煥德)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최창규(崔昌奎)의 서문이, 권말에 환덕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권1에 시 172수, 권2에 소(疏) 4편, 유장(儒狀) 1편, 서(書) 5편, 명(銘) 1편, 책(策) 1편, 기(記) 2편, 서(序) 2편, 발(跋) 1편, 잡저 1편, 행장 2편, 묘표 2편, 부록인 관직이력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의 「송연풍김쉬(送延豊金倅)」는 연풍현감에 임명된 김병욱(金炳昱)을 보내며 지은 시로, 그의 인품과 재기(才器)에 감탄하여 읊은 것이다.
소의 「사지평소(辭持平疏)」는 지평을 사직하는 글로서, 그 가운데에 오태운(吳泰雲)이 침랑의 물망에 오른 것에 대하여, 그가 전날 송시열(宋時烈)을 비난한 일이 있었음을 들어 모현(侮賢)한 자에게 영록(榮祿)을 주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한 내용이다.
책의 「삼정대책(三政對策)」에서는 당시 삼정의 폐단을 지적하여, 전정(田政)에 있어서는 경계를 고르게 할 것, 군정(軍政)에 있어서는 병영의 허점을 정비하고 급량(給糧)의 결함을 없앨 것, 환정(還政)은 풍년에 더 거두고 흉년에는 적게 거두어 백성에게 무리가 없도록 할 것 등의 시정책을 제시하였다.
기의 「퇴휴암기(退休菴記)」는 관직에서 물러나 향리에 서재를 짓고 퇴휴암이라 이름한 뒤 주위의 경관과 심회를 적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