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지지 ()

목차
관련 정보
탁지지
탁지지
조선시대사
문헌
조선후기 문신 박일원이 왕명으로 호조의 모든 사례를 정리하여 편찬한 관찬서. 사례기록문서.
목차
정의
조선후기 문신 박일원이 왕명으로 호조의 모든 사례를 정리하여 편찬한 관찬서. 사례기록문서.
내용

21권 10책. 필사본.

정조대는 국가에서 주도하는 각종 편찬 사업이 진행되고 있었다. 그 중 주요 관서의 사례를 모아 후일 고거할 자료로 삼으려는 목적에서 『춘관지(春官志)』 · 『추관지(秋官志)』 · 『규장각지(奎章閣志)』 · 『홍문관지(弘文館志)』 · 『태학지(太學志)』 등 여러 관서지가 편찬되었다.

이 책은 이러한 편찬 사업의 연속으로 1788년(정조 12) 탁지랑(度支郎) 박일원(朴一源)이 왕명을 받들어 편찬하였다. 이후 1796년 박일원의 초고본을 선사(繕寫)해 호조에 비치하게 하였다.

탁지라는 명칭은 ‘탁용지비(度用支費)’의 약칭으로, 곧 호조를 가리킨다. 『춘관지』 · 『추관지』와 달리 책명을 ‘지관지’라 하지 않고 ‘탁지지’라 한 것은 이러한 호조의 실상을 인지시키기 위해서였다.

이 책의 내용은 크게 내편(內篇)과 외편(外篇)으로 나누어져 있다. 내편은 권1 관제부(官制部)로서 호조 · 속사(屬司) · 직장(職掌) · 이예(吏隷) · 늠록(廩祿) · 관사(館舍) · 잡의(雜儀) · 고적(古蹟) · 사례(事例) 등 9목으로 나누었다.

외편은 권2∼21로 호조 소속 판적사(版籍司) · 회계사(會計司) · 경비사(經費司) 등 3사의 문부(文簿)를 기록하였다. 이 중 권2∼11은 판적사의 판도(版圖) · 전제(田制) · 조전(漕轉) · 재용(財用) · 공헌(貢獻) 등 5목을, 권12는 회계사의 창고(倉庫) · 해유(解由) · 조적(糶糴) 등 3목을, 권13∼21은 경비사의 오례(五禮) · 경비(經費) · 요록(料祿) · 황정(荒政) 등 4목을 정리하였다.

각 항목별 서술 내용은 전교(傳敎) · 절목(節目) · 사례(事例) · 사실(事實)의 순이다. 특히, 중요한 통계 자료나 여러 가지 절목은 일반 연대기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것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따라서 조선 후기 사회 · 경제 부문의 구체적인 실상을 파악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편찬자인 박일원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형조좌랑 재임시 『추관지』를 편찬한 경험이 있었고, 또 그가 편찬한 『추관지』 · 『탁지지』에 대해 정조의 칭찬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탁월한 능력을 가진 인물임을 알 수 있다.

이 책의 특징은 일반 공사문서처럼 중국 연호를 쓰지 않고 우리 나라 편년을 바로 썼다는 점이다. 또 직인에 대해서는 관직과 성을 쓰지 않는 것이 관례였으나, 나중에 징신(徵信)하기 위해 관직을 이름 아래 세서(細書)하였다.

수록 전 내용의 대부분이 17세기 인조대 이후의 것으로, 조선 후기 경제제도의 변화 및 실태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1749년(영조 25)에 이루어진 『탁지정례(度支定例)』와 함께 당시 국가 재정 및 사회 · 경제사 연구의 기본 자료가 된다. 규장각도서에 있으며, 1967년 서울대학교에서 영인, 간행해 널리 보급되었다.

참고문헌

『탁지지(度支志)』(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도지지해제」(한우근, 『서울대학교고전총서』, 1967)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이태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