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고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김휘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휘약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924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7권 3책. 목판본. 1924년 종질 석(㙽)과 제자 권상익(權相翊)이 간행하였으며, 서문과 발문은 없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성균관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제1책에 부(賦) 1편, 시 190여수, 서(書) 22편, 제2책에 책(策) 2편, 논(論) 2편, 변(辨) 5편, 설(說) 1편, 서(序) 9편, 기(記) 7편, 발(跋) 7편, 상량문, 제문, 제3책에 가장, 유사, 저자의 연보·유사·행장·묘지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가운데 시는 은거하는 생활 속에서 주위의 자연경관을 연작의 형식으로 읊은 것이 대부분이다.

「정전론(井田論)」에서는 중국과 우리나라 역대왕조들의 정전제와 여러 기록에 나타난 정전제의 내용을 살피고, 이를 주관하는 자가 백성을 사랑하는 마음을 가지고 교육을 통한 교화로써 시행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남당심정도변(南塘心情圖辨)」은 한원진(韓元震)의 사람과 물(物)의 성(性)이 다르다는 설에 대하여 반박한 것으로, 저자가 낙론(洛論) 계열의 학자임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서(序) 6편은 주로 태백산에 은거하던 때 저술한 『효경외전(孝經外傳)』·『사자전서(四子全書)』·『동화일반(東華一斑)』 등의 서문이다.

집필자
이명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