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련 정보
톱
건축
물품
좁고 긴 쇠판에 날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齒]와 같이 내어 톱틀에 끼워서 둘 또는 혼자, 앞뒤로 문질러 나무나 돌을 자르는 데 사용하는 연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톱은 긴 쇠판에 일정한 간격으로 날을 내어 나무나 돌을 자르는 데 사용하는 연장이다. 날을 이빨처럼 낸 쇠판을 톱 틀에 끼워서 만든 것인데 앞뒤로 문질러서 사용한다. 톱은 이미 삼국시대부터 등장하여 중요한 목공 도구의 하나로 이용되었다. 백제의 유품으로는 나주 반남면 신촌리 제9호분에서 출토된 톱이 있다. 이 톱 외에 현존하는 톱은 대개 조선 시대의 것이다. 조선 시대에 사용되어 온 톱은 켤톱·자름톱 외에 특수한 용도를 위한 손톱·세톱 등이 있다. 근래에는 양쪽에 날이 있고 손잡이는 한쪽에만 있는 톱이 일반에게 널리 보급되었다.

목차
정의
좁고 긴 쇠판에 날을 일정한 간격으로 이[齒]와 같이 내어 톱틀에 끼워서 둘 또는 혼자, 앞뒤로 문질러 나무나 돌을 자르는 데 사용하는 연장.
내용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에는 ‘鋸[톱]’ · ‘鋸齒[톱날]’ 외에 톱이 나무 사이를 왕복하는 것을 ‘行(행)’, 톱날을 ‘목설거설(木屑鋸屑)’로 적고 있다.

톱에 관한 고고학적인 발견 사례는 매우 드물어, 1917년에 조사된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의 고분군에서 출토된 일례가 있을 뿐이다. 반남면의 고분군은 고총식(高塚式) 봉토 아래 옹관이 매장된 이른바 옹관묘이다. 이 반남면 신촌리 제9호분 옹관에서 출토된 톱은 함께 출토된 금동관과 함께 백제의 유품으로 알려졌으며 톱날이 전신에 만들어져 있다.

현존치수는 길이 26. 5㎝, 너비 3㎝이고, 몸통의 머리 부분을 삼각형으로 하였으며 끝에는 손잡이가 달려 있다. 손잡이 부분에 목질(木質)의 흔적이 있고, 날은 약간 위로 굽어져 있다.

상하 양쪽에 톱날이 있는데 아래쪽 날이 위쪽보다 크고 날은 좌우로 어긋나 있으며, 톱날들은 몸체의 앞을 향하여 날이 서 있는 것으로 미루어 앞으로 밀어서 나무를 절단하는 톱으로 보인다. 이 톱은 5, 6세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나주 신촌리에서 출토된 이 톱 외에 현존하는 톱은 대개 조선시대의 것이며, 그 형태도 백제고분의 출토톱과는 다르다. 조선시대의 톱은 톱량[鋸樑] · 톱자루 · 동발 · 탕개로 구성되어 톱량 양쪽에 톱자루의 밑부분인 톱소매를 하나씩 연결하고, 톱자루 중간쯤에 동발을 지지한 다음, 톱자루 양쪽 맨 위를 탕개로 걸어 죄어 탕개목을 동발에 괴어놓는다.

톱질은 혼자 또는 둘이서 하는데, 작은 나무를 자르거나 마름질할 때는 혼자서 한다. 혼자서 톱질을 할 때에는 모탕(목재를 자르거나 창문짝 등을 가공하기 위하여 그 밑에 받치는 대) 또는 말을 받쳐놓고 사용하며, 원목을 켤 때는 대톱이나 무량톱[無樑鋸]을 사용한다. 이때는 원목을 톱질틀에 괴어 톱질한다.

조선시대에 사용되어 온 톱을 열거하면, 켤톱 · 자름톱 · 대톱 · 중톱 · 소톱 외에 특수한 용도를 위한 돌림톱 · 실톱 · 칼톱 · 절톱 · 손톱 · 세톱 등이 있다. 켤톱은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목재의 섬유 방향으로 켜는 것이다. 톱니의 모양은 70° 정도의 삼각형으로 되어 있으며, 날어김을 적게 하여 마모가 크지 않게 한다. 켤 때는 톱니 끝이 끌과 같은 기능을 해서 켜지게 된다.

켤톱의 다른 말로는 인거톱 · 잉걸톱 · 내릴톱 · 세로톱 등이 있다. 인거톱이란 원목을 제재하는 대형톱을 말하며, 이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을 인거장(引鋸匠)이라고 한다.

자름톱[斷鋸]은 목재의 섬유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자르는 톱이다. 톱니의 날어김을 크게 좌우 두 줄로 만든다. 지름이 큰 원목을 자르는 톱은 특히 톱량과 동발 사이를 넓게 만들어 사용한다. 자름톱의 다른 말로는 단거톱 · 끈치톱 · 썰음톱 · 가로톱 등이 있다. 이 일을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을 걸거장(乬鋸匠)이라고 한다.

대톱[大鋸]은 주로 원목을 제재할 때 둘이서 밀고 당기면서 사용하는 것으로, 톱니를 크게 하여 한번에 많이 썰 수 있도록 되었다. 중톱[中鋸]은 일반적으로 목수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톱량을 톱소매에 끼울 때 톱량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 켤 때나 자를 때 마음대로 조정,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소톱[小鋸]은 일반 목수뿐 아니라 창호나 가구를 짜는 소목장들이 많이 사용하는데, 톱니가 작고 간격도 좁게 되어 있다. 그 밖에 돌림톱은 곡선이나 구멍을 내는 데 사용되며 실톱은 곡선 · 원형 또는 파도형을 켜낼 때 쓰인다.

톱은 이미 삼국시대부터 등장하여 우리나라 전통사회의 중요한 목공도구의 하나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근년에, 양날에 한 쪽에만 손잡이가 달린 일본식톱 또는 서양식 톱이 들어와 일반에게까지 널리 보급되고, 전통적인 켤톱은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참고문헌

「한국의 건축연장」(이왕기, 『꾸밈』 47, 1984.4.)
관련 미디어 (6)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