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농악 ()

목차
관련 정보
평택농악
평택농악
국악
작품
문화재
경기도 평택지방에서 전승되는 농악.
목차
정의
경기도 평택지방에서 전승되는 농악.
내용

1985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평택은 소샛들이라는 넓은 들을 끼고 있어 예로부터 농산물이 풍요하여 평택지방의 농악을 이루는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더욱이 평택 근처의 청룡사(靑龍寺)는 일찍부터 사당패들의 근거지가 되어 조선 말기에는 그들의 농악이 크게 발달하였다. 평택에서는 예로부터 지신밟기나 두레굿 등이 유행하였으며, 지금은 법고 김용래(金龍來)를 중심으로 농악이 행해지고 있다.

평택 농악의 특징은 쇠가락으로 길군악칠채가 다른 지역과 구분되며, 가락의 가림새가 분명하다. 또한, 잡색(雜色) 중에는 대포수가 빠지고 무동(舞童)과 사미 · 양반 등이 있는데, 특히 무동의 수가 많으며, 판굿에 있어 진(陣)풀이는 사각행진놀이와 당산벌림과 같은 ㄷ자형 놀이가 있고, 노래굿이 있다는 점도 특이하다.

평택 · 안성 · 화성 등지의 농악은 경기 농악의 전형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강원도 서부, 충청도 북부 등지에도 파급되어 매우 넓은 지역에 분포되어 있다. 사용되는 악기로는 꽹과리 3, 징 2, 북, 버꾸 4, 호적, 나팔이 있다. 편성은 영기수(令旗手) · 농기수(農旗手) · 나팔수 · 호적수 · 상쇠 · 부쇠 · 종쇠 · 징수 1 · 징수 2 · 설장구 · 부장구 · 삼장구 · 북 · 상버꾸 · 부버꾸 · 종버꾸 · 꼬리버꾸 · 상무동 · 종무동 · 삼무동 · 칠무동 · 중애(사미) · 양반으로 되어 있다.

평택 농악은 악기에 있어서 징과 북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적으며 소고와 법고의 구별이 없다. 특히, 길군악칠채는 경기 농악에만 보이는 현상이다. 그 밖에 굿거리 · 덩더꿍이 · 잦은가락 등 느리고 빠른 가락을 고르게 쓰며, 잡다한 여러 가락이 없으므로 쇠가락의 가림새가 분명하고 암채 · 수채의 변화를 구사한 가락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1985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기예능 보유자로는 김용래(金龍來: 법고)가 있다.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최종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