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린 ()

목차
관련 정보
취운당비 / 학린
취운당비 / 학린
불교
인물
조선시대 금강산 서산대사의 제자가 되어 법맥을 계승한 승려. 선사(禪師).
이칭
취운(翠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75년(선조 8)
사망 연도
1651년(효종 2)
출생지
인천광역시 강화
목차
정의
조선시대 금강산 서산대사의 제자가 되어 법맥을 계승한 승려. 선사(禪師).
내용

성은 손씨(孫氏). 호는 취운(翠雲). 인천광역시 강화(江華) 출신. 아버지는 의련(義連)이며, 어머니는 김씨이다. 해를 보는 태몽이 있었다. 어려서부터 마늘이나 파를 먹지 않았고, 모래를 모아 불공하는 시늉을 하였으므로 사람들이 손거사(孫居士)라 칭하였다.

15세에 인정(印淨)을 따라 출가하여 금강산으로 들어가 서산대사(西山大師)를 배알하였다. 서산대사의 문하에서 10여 년을 수행하여 그의 법을 이었다. 일찍이 『화엄경』을 읽다가 여러 경에서 도를 구하는 것이 마음에 기록함만 같지 못함을 깨닫고, 즉시 축수굴(竺修窟)로 들어가 9년 동안 면벽수행하였다.

그 뒤 운달산(雲達山)에서 5년 동안 머무르다가 보개산(寶蓋山)에 들어가 안주하였다. 부처님의 성도(成道) 전을 본받아 고행 정진하였고, 만년에도 고행 정진을 늦추지 않았으며, 제자들에게는 출가의 커다란 뜻을 강조하여 방심하지 말고 수행 정진할 것을 당부하였다.

열반에 들기 직전에 제자들이 게송을 청하자, “나고 죽음이 한 이치이니 항상 고요하고 항상 비추고 있다. 이미 나고 죽음도 없는데 게송은 하여 무엇하겠는가.” 하면서 입적하였다.

다비식을 하던 날 신령한 광명이 하늘을 밝히면서 사리가 스스로 나왔다고 한다. 제자 법혜(法慧) 등이 심원사(深遠寺)의 동쪽 기슭에 부도를 세우고 사리를 봉안하였다. 비명(碑銘)은 정두경(鄭斗卿)이 지었다.

참고문헌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송찬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