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 수월관음도 ( )

목차
회화
작품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해인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의 불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해인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의 불화.
개설

1876년 양공(良工) 수룡대전(水龍大電)이 그린 수월관음도이다. 불화로서는 드물게 종이 바탕에 채색하였으며, 그림의 크기는 세로 39㎝, 가로 24.5㎝이다. 원래 해인사 관음전에 봉안하였으나, 현재는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이 수월관음도는 본격적인 예배용 불화와는 달리 특이한 구도를 갖추고, 또 화풍도 일반적인 불화의 화풍과는 다른 독특한 작품이다. 중앙에 그려진 관음도 외의 화면은 감색(紺色)으로 칠하여 윗 부분에는 진언(眞言)을 범자(梵字)로 표기하고, 아랫 부분에는 “광서 2년 해인사 관음전에 봉안하였다. ”는 화기(畫記)를 적고 있다.

중앙에는 원형의 화면을 마련하여 그 안에 수월관음도를 그렸는데 수묵담채화풍의 수법을 보이고 있다. 바위에 걸터앉은 관음의 모습은 도포와 같은 복장과 늘어뜨린 머리칼 등 보살형의 모습이라기보다는 선인(仙人)의 풍모를 지니고 있어 특이하다.

해변가 바위에 걸터앉은 관음의 주위에 대나무숲이 보이고 청조(靑鳥)가 날고 있으며, 또한 관음 곁에 버들개지가 꽂힌 정병(淨甁)이 놓인 점 등 전통적인 수월관음도 도상(圖像)의 요소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구도나 필치, 채색 등에 형식적이고 소략한 점이 많이 눈에 띄고 있다.

이 관음도는 연대가 오래지 않은 19세기의 작품이지만, 불화풍이 아닌 수묵화풍으로 그려져 전각에 봉안되었다는 점에서 그 유례가 희귀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 권18,(대학박물관편, 1999)
『한국(韓國)의 미(美) 16 -조선불화(朝鮮佛畵)-』(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한국(韓國)의 미(美) 7 -고려불화(高麗佛畵)-』(이동주 감수, 중앙일보사, 1981)
『한국(韓國)의 불화(佛畵)』(문명대, 열화당, 1981)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해인사 관음전 수월관음도」연구」(이혜원, 『불교미술』 23, 2012)
집필자
박도화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