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인사 수월관음도 ( )

목차
회화
작품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해인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의 불화.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합천군 가야면 치인리 해인사에 있었던 조선 후기의 불화.
개설

1876년 양공(良工) 수룡대전(水龍大電)이 그린 수월관음도이다. 불화로서는 드물게 종이 바탕에 채색하였으며, 그림의 크기는 세로 39㎝, 가로 24.5㎝이다. 원래 해인사 관음전에 봉안하였으나, 현재는 동국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이 수월관음도는 본격적인 예배용 불화와는 달리 특이한 구도를 갖추고, 또 화풍도 일반적인 불화의 화풍과는 다른 독특한 작품이다. 중앙에 그려진 관음도 외의 화면은 감색(紺色)으로 칠하여 윗 부분에는 진언(眞言)을 범자(梵字)로 표기하고, 아랫 부분에는 “광서 2년 해인사 관음전에 봉안하였다. ”는 화기(畫記)를 적고 있다.

중앙에는 원형의 화면을 마련하여 그 안에 수월관음도를 그렸는데 수묵담채화풍의 수법을 보이고 있다. 바위에 걸터앉은 관음의 모습은 도포와 같은 복장과 늘어뜨린 머리칼 등 보살형의 모습이라기보다는 선인(仙人)의 풍모를 지니고 있어 특이하다.

해변가 바위에 걸터앉은 관음의 주위에 대나무숲이 보이고 청조(靑鳥)가 날고 있으며, 또한 관음 곁에 버들개지가 꽂힌 정병(淨甁)이 놓인 점 등 전통적인 수월관음도 도상(圖像)의 요소를 갖추고 있다. 그러나 전체적인 구도나 필치, 채색 등에 형식적이고 소략한 점이 많이 눈에 띄고 있다.

이 관음도는 연대가 오래지 않은 19세기의 작품이지만, 불화풍이 아닌 수묵화풍으로 그려져 전각에 봉안되었다는 점에서 그 유례가 희귀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 권18,(대학박물관편, 1999)
『한국(韓國)의 미(美) 16 -조선불화(朝鮮佛畵)-』(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한국(韓國)의 미(美) 7 -고려불화(高麗佛畵)-』(이동주 감수, 중앙일보사, 1981)
『한국(韓國)의 불화(佛畵)』(문명대, 열화당, 1981)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해인사 관음전 수월관음도」연구」(이혜원, 『불교미술』 23, 2012)
집필자
박도화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