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술 담그기 (술 담그기)

목차
관련 정보
두견주 / 고두밥을 식힌다
두견주 / 고두밥을 식힌다
식생활
물품
각 지방의 특유한 전통술을 담그는 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각 지방의 특유한 전통술을 담그는 법.
내용

1987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향토술은 각 지방에 제조법이 구전되어 온 술이다. 1955년<양곡관리법>에 의한 곡주생산 금지조처로 생산이 중단되었다. 1986년 11월 1일에 서울의 문배주, 충청남도 면천의 두견주(杜鵑酒), 경상북도 경주의 법주 등이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제조기능 보유자를 무형유산 전승자로 인정하였다.

문배주는 그 향기가 문배나무의 과실에서 풍기는 향기와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그러나 문배나무의 과실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서 문배향을 풍기는 특징이 있다. 술의 색은 엷은 황갈색을 띤다. 문배향이 강한 알코올 도수 40° 정도의 소주이다.

문배주는 밀누룩을 사용하였을 때에는 누룩용으로 밀 2말, 주모 및 술덧용으로 좁쌀 1말5되, 수수 2말 5되에서 문배주 3말을 생산한다. 시제품인 백국(白麴)을 사용하였을 때에는 주모 및 술덧용으로 좁쌀 2말, 수수 3말을 사용하여 문배주를 3말 5되를 생산한다. 기능보유자는 이경찬(李景燦)의 할머니(박씨할머니)에서 아버지(이병일)로 이어졌다. 현재의 기능자는 이경찬이다.

면천두견주는 약용주류로 고려의 개국공신인 복지겸(卜智謙)이 병을 앓다가 아미산에 핀 두견화와 찹쌀 · 안샘물로 빚은 진달래술을 마시고 고친 데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색은 일반 약주보다는 담황갈색이 난다. 단맛이 돌면서 점성이 있고 향기롭다. 알코올 도수는 21° 정도이다.

술 1말을 얻으려면 찹쌀 1말 2되, 누룩 4되, 물 6되, 두견화 1되 3홉이 필요하다. 현재의 기능보유자는 박승규(朴昇逵)로 증조모의 기능을 받은 박성흥 · 박천성에 이어 계승되고 있다.

경주법주는 외관은 밝고 투명한 미황색을 띤다. 곡주 특유의 향기와 감미, 약간의 산미를 지니고 있다. 밑술에 사용되는 찹쌀과 술덧담금에 사용되는 찹쌀의 양을 100으로 할 때에 약 53 정도의 술이 얻어진다. 알코올 도수는 16∼18°이다. 현재의 기능보유자는 배영신(裵永信)이다. 그의 큰아들 최경과 부인 서정애가 전수 받고 있다.

우리 민족과 같이 동고동락하여 온 민속주가 국가유산으로 지정 받게 된 것은 매우 의의가 있는 일이다. 이 밖에 1988년 9월에 24종의 전통민속주가 국세청 주류심의위원회를 거쳐 예비허가 되어 우리의 향토술을 발굴하고 보존하는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참고문헌

『전국민속주조사』(문화재관리국, 1983)
『무형문화재지정조사보고서 제163호-전통민속주-』(문화재관리국, 198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