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백련 ()

허백련
허백련
회화
인물
해방 이후 국전 심사위원, 초대작가 등을 역임한 화가. 한국화가.
이칭
의재(毅齋)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1년(고종 28)
사망 연도
1977년
본관
양천(陽川)
출생지
전라남도 진도
목차
정의
해방 이후 국전 심사위원, 초대작가 등을 역임한 화가. 한국화가.
개설

본관은 양천(陽川). 호는 의재(毅齋). 전라남도 진도 출생. 고향에서 보통학교를 다닌 후, 신학문에 뜻을 품고 서울로 올라와 기호학교(畿湖學校)에 입학하였다가 1913년 일본으로 건너갔다.

도쿄(東京)의 메이지대학(明治大學)에서 법정학을 전공하려다가 그림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일본 화단의 활발한 움직임에 자극을 받았고, 고향에서 종고조(從高祖)뻘 되는 19세기의 대화가 허련(許鍊)의 아들인 허형(許瀅)에게 묵화의 기초를 익혔던 재질이 전문적인 그림 수업을 결심하게 한 것이었다.

활동사항

동경에 약 6년간 머무르며 당시 일본의 대표적 남화가(南畫家)였던 고무로 스이운(小室翠雲)의 영향을 받아 정통 남종 산수화를 지향하게 되었다.

1918년 고향으로 일단 돌아갔다가 1922년 서울에 올라와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전통적인 산수화를 출품하여 입상하면서 각광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1927년까지만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하고, 그 뒤 전라남도 광주에 정착하여 독자적 화필 생활과 문하생 지도에 전념하였다.

그는 같은 세대의 신예들이 모두 서울을 중심으로 근대적 작풍을 추구한 것과는 달리, 오로지 옛법[古法]에 충실한 화격(畫格)을 자신의 세계로 심화시키는 방향을 고수하였다. 그의 산수화와 문인화는 전통 남종화 정신과 그 기법의 철저한 계승이었다.

1938년에는 광주에서 연진회(鍊眞會)를 발족시켜 회관까지 마련하고 호남 지역의 서화 전통을 더욱 떨치게 하려는 노력을 주도하였다.

문인화가 이범재(李範載)와 구철우(具哲祐)는 그때의 제자이다. 그 뒤에도 문하에서 김옥진(金玉振)을 비롯한 많은 전통적 산수화가가 배출되었다.

1945년 광복 직후에는 무등산 다원(無等山茶園)을 인수하여 축산 농장을 경영하면서 화필 생활을 병행하였다. 그리고 1947년에는 농업고등기술학교를 설립하고 가난한 집안의 청소년들에게 농사 기술을 익히며 학업도 닦게 하는 등 사회사업에 심혈을 기울였다.

1949년에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國展)]가 시작되자 추천 작가 · 초대 작가로 추대되고, 심사 위원을 역임하였다.

1960년 대한민국예술원 회원이 되었고, 1962년 문화훈장 문화포장(文化褒章)을 받았다. 또 1966년에는 예술원상 미술 부문을 수상하였다.

한시(漢詩)와 고전 화론(古典畫論)에 통달하고 서법(書法)도 독특한 경지를 보인 시 · 서 · 화 겸전의 전형적 남종화가로서 호남 서화계의 상징적 거봉으로 추앙되었다.

1973년에 대규모 회고전이 서울에서 동아일보사에 의하여 개최되었다.

참고문헌

『의재 허백련-작품과 생애』, 전남일보사, 1977
이구열, 『한국현대미술사-동양화』, 국립현대미술관, 1976
『의재 허백련화집』, 동아일보사, 1973
『한국의 회화-의재 허백련』, 예경산업사, 1980
집필자
이구열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