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철우 ()

회화
인물
해방 이후 국전 추천작가, 서예부 심사위원 및 심사위원장 등을 역임한 서화가.
이칭
이칭
근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04년(고종 41)
사망 연도
1989년
본관
능성(綾城)
출생지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정리
정의
해방 이후 국전 추천작가, 서예부 심사위원 및 심사위원장 등을 역임한 서화가.
활동사항

호는 근원(槿園)이며, 당호(堂號)는 무궁헌(無窮軒)이다. 자는 명숙(明淑)이다. 조국애에 뜻을 두어 무궁화 '근(槿)', 동산 '원(園)'으로 자호(自號)하고, '무궁헌(無窮軒)'의 주인을 자처하였다. 전라남도 화순군 한천면 정리에서 천석군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여덟 살 무렵 ‘꼬마명필’로 알려질 정도로 글씨를 잘 썼다. 양곡(良谷) 이승복(李承福)과 후석(後石) 오준선(吳駿先) 문하에서 한학을 배웠으며, 1920년양재옥과 결혼 직후 서울의 배재학당에 입학하면서 신구학문을 두로 섭렵하였다. 그러나 중동학교 3학년을 다니던 중 고향으로 돌아와 1928년광주시 대인동으로 이사하면서 허백련(許百鍊) 문하에서 그림과 글씨를 본격적으로 배우게 되었다.

1938년 허백련이 광주에 전통 서화가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한 연진회(鍊眞會)의 주요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소전(素筌)손재형(孫在馨) 같은 유명 서화가들과 친분을 맺었다. 한국전쟁이 일어나자 자택에서 5년 동안 매일 팔백 자씩 글씨를 쓰면서 개성적 필법을 완성하였다. 특히 그는 조맹부(趙孟頫)의 송설체(松雪體)에 근간을 둔 단아한 행서에 뛰어났으며, 사군자 중에서는 매화가 일품(逸品)이었다.

1956년 제5회 국전 서예․사군자에 출품한 「묵죽」을 시작으로 연속 4회 특선을 하면서 1960년 국전 추천작가가 되었고, 이후 서예부의 심사위원 및 심사위원장을 7회 역임하였다. 1975년한국예술원 원로작가에 추대되었고, 1978년 고 허백련의 유지에 따라 설립된 연진회미술원의 초대 원장으로 후학을 양성하였다. 이곳은 광주농업기술학교를 바꾸어 1978년 2월 10월 개원한 미술교육기관으로 보통과와 전문과로 나누어 사군자와 습자는 물론 국어, 국사, 기초 한문 등의 교양과목도 가르쳤다. 더불어 전라남도 미술대전, 무등미술대전 등 공모전의 심사 또는 운영위원으로 광주 화단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이밖에 1964년신세계미술관에서 개인전이 열렸으며, 1973년 ‘원로작가 초대전’을 비롯해 1979년 열린 ‘아주현대서화명가전(亞洲現代書畵名家展)’, 1982년 국전(國展)이 폐지되고 처음 열리는 ‘82 현대미술초대전’, 1985년 ‘현대미술 40년전’, 1988년 올림픽을 기념해 개최된 ‘국제현대서예전’, 1990년 ‘한국서예 국전 30년전’ 등 국내외의 주요 전시회에 참여하였다.

현재 전라남도 순천 선암사 경내의 삼성각(三聖閣) 편액과 허백련 묘비는 그의 글씨이며, 다수의 글씨와 사군자가 남아 있다.

상훈과 추모

l96l년 전라남도 문화상 수상.

참고문헌

『한국현대미술의 역사: 한국미술사 사전 1945-1961』(최열, 열화당, 2006)
『동아일보』(1979. 6. 19, 1985. 10. 30)
『매일경제』(1978. 2. 8, 1981. 3. 27, 1983. 1. 20, 1988. 9. 24)
집필자
최경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