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환 ()

목차
관련 정보
봉학도 가리개
봉학도 가리개
회화
인물
일제강점기 「송월학명」 · 「봉학도」 등을 그린 화가.
이칭
이칭
심묘, 소운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목차
정의
일제강점기 「송월학명」 · 「봉학도」 등을 그린 화가.
활동사항

호는 심묘(心畝), 소운(筱雲)이다. 출생이나 성장에 관한 것이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1910년대 초 조석진(趙錫晋)의 자택에서 손자 조광준(趙廣濬), 외손자 변관식(卞寬植), 박승무(朴昇武)와 함께 생활하면서 그림을 배웠다. 1915년 가을 경복궁에서 식민통치 5년을 기념해 열린 조선물산공진회의 미술관에 그의 작품이 전시되었다. 1920년 11월 예성회(藝星會)가 주최한 심묘 김창환 화회가 대동관(大同館)에서 열렸으며, 이때 정대유(丁大有)⋅변관식(卞寬植)⋅이상범(李象範)⋅이완용(李完用)⋅변종헌⋅이용우(李用雨)⋅강필주(姜弼周) 등이 90여 점을 출품하여 대성황을 이루었다. 1921년 1월 10일자 『매일신보』에는 그가 남쪽 지방을 여행하며 적은 기행문이 실리기도 하였으나, 이후의 행적은 자세히 전하지 않고 있다. 현전 작품 가운데 오세창(吳世昌)을 위해 그린 「송월학명(松月鶴鳴)」(간송미술관)과 「봉학도(鳳鶴圖)」 2폭 가리개(1917, 궁중유물전시관)를 통해, 스승의 전통적인 화조화풍과 당시 새로 유입된 일본화풍을 모두 능숙하게 구사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매일신보』(1921.1.10)
『공진회실록』(서병협 편, 박문사, 1916)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한국미술사 사전 1800-1945』(최열, 열화당, 1998)
『서화백년』(김은호, 중앙일보사, 1981)
「근대 전환기 한국 화단의 일본화 유입과 수용」(강민기,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최경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