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형 ()

회화
인물
일제강점기 제2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하경산수」 로 입선한 화가.
이칭
이칭
미산(米山), 허준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2년(철종 13)
사망 연도
1938년
본관
양천(陽川)
출생지
전라북도 전주
관련 사건
제2회 조선미술전람회 입선(1923년)|개인전(1928년, 광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제2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하경산수」 로 입선한 화가.
개설

본관은 양천(陽川), 본명은 결(潔), 전주 출신이다. 소치(小癡) 허련(許鍊)의 넷째 아들로 가업(家業)인 화가의 길을 걸었다. 진도, 강진, 목포에서 활동하였고 근현대 호남화단에서 중추적 역할을 한 아들 허건(許楗)과 일가인 허백련(許百鍊)에게 그림을 가르쳤다.

생애와 활동사항

1862년 전주에서 소치(小癡)허련(許鍊)의 넷째 아들로 태어나, 1867년 진도로 이주하여 성장하였다. 허련은 큰아들 허은(許溵)이 그림에 뛰어난 재능을 보이자 화업(畵業)을 이을 것으로 여겨 북송의 서화가 미불(米芾)의 성을 따서 미산(米山)이라 호를 지어 주는 등 크게 기대하였다. 그러나 허은이 1867년 34세의 나이로 요절하자 낙담하여 다른 자식들에게는 그림을 가르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허형의 나이 16세 경, 우연히 아들이 그림에 재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허련은 본격적으로 그림을 가르쳐 허형에게 가업을 잇게 하였다. 그러면서 형인 허은에게 주었던 미산이라는 아호를 허형이 쓰게 하였기 때문에, 허은을 큰 미산(大米, 伯米), 허형을 작은 미산(小米, 季米)이라 부르기도 한다.

아버지 허련에게 간헐적으로 그림지도를 받으며 그림으로 생계를 이어갔던 허형의 생애는 거주지의 이동에 따라 대략 3기로 구분된다. 태어나서 줄곧 살았던 진도를 떠나 1912년 강진 병영(兵營)으로 이사하였고, 1921년에 다시 목포로 이주하였다. 이러한 거주지의 이동은 생활고를 이겨내기 위해 전남지방의 상업과 교역지의 이동에 따른 것이라 볼 수 있다.

허형은 1923년에 개최된 제2회 조선미술전람회 동양화부에 허준(許準)이라는 이름으로 「하경산수(夏景山水)」를 출품하여 입선하였고, 1928년 6월 광주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허형은 80세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허련의 화법을 본받은 산수화 · 사군자 · 괴석 등을 수묵 또는 수묵담채로 그렸다.

허형의 작품세계는 진도에서의 활동시기를 전기로, 강진 병영시기와 목포시기를 후기로 나누기도 하지만 작품상 전후기 구분이 뚜렷치 않다. 허형의 회화사적 의의는 본인의 작품 활동보다는 근현대 호남화단에서 중추적 역할을 한 아들 허건과 허림(許林), 그리고 일가인 허백련에게 그림을 지도해 그들이 호남화단과 근현대 한국화단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도록 일조했다는 데 있다.

상훈과 추모

제2회 조선미술전람회 입선(1923년)

개인전(1928년, 광주)

참고문헌

「남종화의 전개와 호남의 전통화단」(김상엽, 『남농 허건-남농 서거 20주년 기념 기획전』, 국립현대미술관·남농문화재단, 2007)
「미산 허형의 생애와 작품 연구」(김현옥, 전남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
「조선시대 호남의 전통회화」(이태호, 『호남의 전통회화』, 국립광주박물관, 198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