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양재 ()

회화
인물
개항기 「묵매도」를 그린 화가.
이칭
이칭
옥전(玉田)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48년(헌종 14)
사망 연도
1912년
출생지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개항기 「묵매도」를 그린 화가.
개설

1848년 전라남도 보성에서 태어났다. 1872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합격한 후 정삼품(正三品) 통정대부(通政大夫) 당상관(堂上官) 내금부장(內禁府將)으로 재직 중 을미사변(乙未事變)을 당하여 관직을 사임하고 낙향하였다고 전한다. 소치(小癡) 허련(許鍊)에게 그림을 배워 묵란(墨蘭)을 잘 그렸다고 한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48년(헌종 14) 전라남도 보성군 보성읍 가마실에서 임로원(林璐源)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872년(고종 9) 식년문과(式年文科)에 합격한 후 정삼품(正三品) 통정대부(通政大夫) 당상관(堂上官) 내금부장(內禁府將)으로 재직 중 1895년 을미사변(乙未事變)을 당하여 관직을 사임하고 낙향하였다고 전한다. 조선 말기 문신 여규형(呂圭亨)의 문집을 1923년에 간행한 『하정집(荷亭集)』에 의하면 허련에게 그림을 배워 묵란(墨蘭)을 잘 그렸고, 문장에도 능하여 전남 보성으로 두 번째 귀양을 왔던 당대의 문장가 영재(寧齋) 이건창(李建昌)과 시를 주고받았다고 하였다. 현재 전하는 「묵매도(墨梅圖)」 8폭 병풍에서는 다소 소방(疎放)한 필치를 보이는 허련의 화풍(畵風)과는 달리 물기 많은 담묵(淡墨)을 위주로 하면서 굵은 줄기는 살아 움직이듯 힘있게 표현하였다.

참고문헌

『한국 근대미술의 역사』(최열, 열화당, 1998)
『보성군사』(보성군사편찬위원회 편, 전라남도 보성군. 1995)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