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천군 ()

인문지리
지명
북한의 함경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허천군은 함경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군이다. 동쪽은 단천시, 서쪽은 풍서군·김형권군, 남쪽은 단천시·덕성군, 북쪽은 갑산군과 접해 있다. 사면이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높은 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지세는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아 남동쪽을 향해 골짜기가 열려 있는 형국이다. 함경남도 단천군과 풍산군의 일부에 속하여 있던 지역으로, 1952년 단천군 수하면과 풍산군(지금의 김형권군) 천남면을 분리·통합하여 허천군을 신설하였다. 행정구역은 1읍, 5로동자구, 17리로 이루어져 있다. 경제는 광공업, 전력공업, 임업, 농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정의
북한의 함경남도 북동부에 위치한 군.
개설

동쪽은 단천시, 서쪽은 양강도 풍서군 · 김형권군, 남쪽은 단천시 · 덕성군, 북쪽은 양강도 갑산군과 접하여 있다. 면적은 1,613.8㎢로 군 면적의 8.7%를 점한다. 군소재지는 허천읍이다. 남부의 중앙부에 위치하는데, 곡류하는 남대천을 끼고 그 양안에 자리하고 있다.

명칭 유래

지역의 전력 생산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허천강발전소에서 유래하였다. 허천강발전소은 허천강에서 비롯된 명칭이다. 허천강에서의 허천(虛川)은 이 고장에 속해 있던 갑산(甲山)의 옛 이름인데, 1391년 이전에는 갑산을 허천이라고 불렀다. 말하자면 허천은 ‘사람이 살지 않는 빈 고장에 큰 강이 흐르고 있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지명이었다.

자연환경

대부분 지역이 해발고도 1,000m 이상의 높은 지대를 이루고 있다. 동쪽에는 검덕산줄기가 남북 방향으로 뻗어 있고, 서쪽과 북쪽에는 부전령산줄기가 연이어 뻗어 있다. 남쪽의 경계에는 부전령산줄기의 지맥이 뻗어 있다. 동부에는 검덕산(2,151m) · 백세봉(1,911m) · 희사봉(1,759m) 등이 솟아 있고, 북부와 서부에는 동점령산(2,113m) · 희사봉(1,759m) · 두운봉(1,622m) · 검덕산(1,682m) · 대덕산(1,445m) · 굴방계서산(1,455m) 등이 솟아 있다.

지세는 북쪽이 높고 남쪽이 낮다. 지형은 남동쪽 일부를 제외하면 전면이 산지로 에워싸여 있으며, 골짜기는 남동쪽을 향해 열려 있다. 이 골짜기를 따라 북단의 산줄기에서 발원한 남대천이 남으로 굽이쳐 흘러 남동쪽의 단천시로 빠져나가 동해로 들어간다. 여기에 만덕천 · 금창천 · 황곡천 등 외곽의 산줄기에서 발원한 지류 하천들이 합류한다. 물 흐름은 빠르고 수량은 많으며 비교적 좁은 골짜기를 따라 흐른다. 충적평탄지는 하천 연안에 국한하여 소규모로 나타난다.

주요 암석은 편마암 · 편암 · 석회암이며, 여기에 구리 · 아연 등이 매장되어 있다. 산림은 군 면적의 93%를 차지한다. 혼효림으로 이루어진 숲의 주요 수종은 소나무와 참나무이다. 바다에서 멀리 떨어진 내륙에 위치하고 있어 기후는 대륙성기후의 특성이 보인다. 연평균기온은 8.4℃, 1월 평균기온은 –6.9℃, 8월 평균기온은 21.8℃이다. 지역의 해발고도는 1,200m 이상의 북부와 100m 이하의 남부 사이에 큰 차이가 있다. 이런 고도 차이에 따라 기온의 수직적 차이도 뚜렷하다. 강수량은 639㎜로 소우지역에 속한다. 눈은 11월 중순부터 내리기 시작해 이듬해 4월 초까지 지속된다

형성 및 변천

본래는 함경남도 단천군과 풍산군의 일부에 속하여 있던 지역이다. 1952년 단천군 수하면과 풍산군(지금의 김형권군) 천남면을 분리 · 통합하여 허천군(虛川郡)을 신설하였다. 1961년 상산리와 상농리를 로동자구로 승격하였으며, 1963년에는 용원리를 로동자구로 승격하였다.

행정구역은 1읍(허천읍), 5로동자구(만덕로동자구, 상농로동자구, 신흥로동자구, 용원로동자구, 상산로동자구), 17리(금창리, 상남리, 수의리, 신평리, 사탑리, 슬암리, 양음평리, 와포리, 운승리, 은흥리, 장평리, 중평리, 통흥리, 하농리, 화장리, 황곡리, 황명리)로 이루어져 있다.

현황

경제는 광공업, 전력공업, 임업, 농업으로 이루어져 있다. 광업으로는 만덕광산과 상농광산에서 북한의 경제에 유의미한 유색 금속과 비금속 광물을 생산하고 있다. 남대천을 비롯한 하천에 건설된 중소규모의 발전소에서는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주요 전력생산지로는 허천강의 발전소들을 비롯하여 금창천의 금창발전소, 황곡천의 황곡천발전소가 있다. 특히 허천강발전소는 허천군과 단천시에 있는 유역변경식 수력발전소인데, 4곳에 각각 건설되어 있다. 허천군 내에는 고성리의 제2발전소(80,000㎾), 상농리의 제3발전소(74,000㎾), 고읍리의 제4발전소(80,000㎾)가 있으며, 약 32만㎾의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허천군은 산림자원이 많은 군으로 허천임산사업소를 비롯한 임산기지에서는 원목을 생산하여 광산용 갱목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일부는 남대천과 단풍선 철도를 이용하여 반출되고 있다.

경지는 군 면적의 5.1%에 불과하며, 대부분이 밭이다. 부족한 경지를 확보하기 위해 골짜기 안의 완사면이 곳곳에 경지로 개간되어 있다. 주요 작물은 옥수수 · 벼 · 콩 · 보리 · 감자이다. 감자생산은 도내에서 장진군 다음으로 많다. 채소는 배추 · 무 · 오이 · 가지 · 시금치 등이며, 마늘 · 파 · 고추도 많이 재배한다. 과수로는 사과 · 배 · 복숭아 등이 생산된다. 사과는 빛깔이 곱고 맛이 좋아 특산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소 사육도 활발하고 양잠도 성하다.

유적으로는 사탑봉수터 · 쌍청보성 · 하농리선돌 · 황토보성 등이 있다. 교통은 허천선(단천∼홍군)과 여기에서 분기하여 만덕로동자지구로 이어지는 만덕선이 있다. 외곽의 산지가 높지만 그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고개를 통해서 이웃하는 단천시 · 김형권군 · 갑산군 · 덕성군으로 연결되는 도로가 지나고 있다. 도청소재지인 함흥까지의 거리는 274㎞이다.

참고문헌

『1:50,000 조선지형도』
『1:250,000 대한민국 지세도』(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2012)
『광명백과사전 -조선의 지리』8(조선과학백과사전편찬위원회·지리부문편찬위원회 편찬, 백과사전출판사, 2009)
『북한연감』통권11권(연합뉴스, 헤럴드미디어, 2009)
『조선향토대백과』13(조선과학백과사전출판사·한국평화문제연구소 공동편찬, 평화문제연구소, 2005)
『조선지명편람 -함경남도』(사회과학원 편찬, 사회과학출판사, 200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