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충렬록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내용

1책. 국문필사본. 세태소설(世態小說)의 범주에 드는 작품으로서, 이를 다소 축약한 활자본인 「정진사전(鄭進士傳)」의 모본이 되는 작품이다. 다양한 삽화와 함께 가사·언문풍월이 들어 있다. 판소리사설투의 서술을 보이는 부분도 있으며, 들광대놀이가 등장하기도 한다. 작품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숙종 때 충청도 괴산에 정진사가 있어 선녀후남(先女後男)의 쌍둥이를 낳아 딸은 규몽, 아들은 청인이라 하였다. 춘천부사 박태후와 동부승지 최종익의 집이 인접하여 가까운 사이였는데, 딸을 하나씩 두어 서로 친하였다.

규몽과 청인 남매가 별당에서 노닐 때 박·최 두 낭자가 함께 놀다가 규몽을 청함에, 청인이 누이의 옷으로 여장을 하고 찾아가 희롱하다가 돌아온다. 이 사실을 부모들이 듣고는 연분이라고 생각한다.

박태후의 동서인 진천 김참판에게 아들 광찬이 있어 남중일색인데 박태후의 집에 심부름을 오자, 박낭자가 전일의 일을 설분하고자 광찬에게 부탁한다. 광찬이 여장을 하고 규몽에게 찾아가 희롱하고 돌아간다.

나라에서 설과함에 정청인은 일등, 김광찬은 이등에 뽑힌다. 임금에게 지난날의 일을 아뢰니 혼인을 명하여 정청인은 박·최 두 부인을 두도록 한다. 평안도에 흉년이 들어 정청인이 어사에 제수되자 각 고을을 순무하고 평양 연광정에 이른다. 그곳에서 술을 파는 한 소복 미인에게 미혹되어 따라간다.

이 때, 본부 기생 일지가 정어사를 자기 집으로 이끌어서는 그 소복 미인이 이방 허천대의 딸로서 원한을 품고서 어사를 유인해 죽이려는 것이라고 알려준다. 정어사는 일지의 집에 머물면서 계교를 써 허천대를 잡는다.

정어사는 일지와 정을 나눈다. 정어사는 임금께 복명하고 집에 돌아와 일지를 받아들인다. 일지는 집안의 사랑을 받으며 아들 평출을 낳는다. 정청인이 호조판서에 올라 중국에 사행 간 사이 일지는 원차돌과 눈이 맞아 밀회를 하자, 최부인이 낌새를 알게 된다.

일지는 최부인을 꺼려 정진사에게 수시로 모함을 한다. 또 원차돌과 계교를 꾸며 최부인이 외간남자와 밀통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정진사가 최부인을 내치려 하자 대부인과 박부인이 정청인이 돌아온 뒤 처결할 것을 아뢴다.

다시 원차돌의 계교를 좇아 박부인의 소생 금석과 일지의 소생 평출을 죽이고 최부인의 짓으로 돌리니 온 집안에 소동이 일어난다.

지나가는 여승이 준 환약으로 금석의 목숨은 구했으나 최부인은 쫓겨난다. 장단 땅의 정도사를 만나 그의 편지를 가지고 천불사의 여승 정수자에게 찾아가 의탁한다. 일지가 다시 금석을 훔쳐 원차돌에게 주고 원차돌은 언년이를 시켜 금석을 돌에 매달아 강에 빠뜨려 죽이고자 한다. 이 때 여승 정수자가 지나가다 돈을 주고 금석을 사서 데리고 온다.

원차돌은 다시 친구 곽몽돌을 시켜 정진사의 집 앞에서 들광대놀이를 하면서 그 밤에 박부인을 업어서 나오게 한다. 박부인은 신령의 도움으로 홀연 금강산 문수암에 옮겨져 하수자에게 의탁하여 지내게 된다.

곽몽돌은 일지를 박부인으로 오인하여 업어 나와, 고양 읍내에 들어가 일지를 학대하며 술장사를 시킨다. 일지가 다시 원차돌과 통간하자 곽몽돌이 그를 타살하여 함께 옥에 갇히게 된다.

이 때 사행에서 돌아오는 정판사가 고양에 머무르게 되는데, 이 소식을 안 일지가 자신의 소식을 전하게 하여 뵙고서 전말을 거짓으로 꾸며대자 일지를 풀어주도록 명한다.

정판사의 꿈에 노인이 현몽하여 두 부인의 소식을 알려줌에 경기감영과 강원감영으로 하여금 장단 천불사와 금강산 문수암에 있는 부인을 데려오게 한다. 임금에게 복명한 뒤 본가에 이르러 일지와 원차돌의 소행을 알게 됨에 두 사람을 잡아 처참하는데, 일지는 평양에서 자신의 목숨을 구해준 일을 생각하여 시신을 매장해준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세 개의 주요 삽화가 연결되어 한 편의 소설을 이루고 있다. 쌍둥이 남매의 남자 정청인이 여장을 하고서 누이의 친구들을 희롱하는 삽화, 정청인과 평양 기생 일지의 결연, 첩으로 들어온 일지의 행악(行惡)에 따른 가정의 파란이 그것이다. 이들 이야기는 작품 속에서 비교적 무리 없이 연결되고 있다.

특히, 후반의 가정 파란은 처첩쟁총의 가정소설의 양상을 보여주는데, 인물의 성격이 생동감 있게 그려져 있고, 배경과 사건에 현실감이 있다. 조동일(趙東一)이 소장하고 있다.

참고문헌

「중세 해체기소설에 나타난 천첩의 형상」(장효현, 『한국 고전소설과 서사문학』, 집문당, 1998)
집필자
장효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