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봉림사 목조 아미타여래 좌상 ( )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조각
유물
문화재
경기도 화성시 봉림사에 있는 고려시대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보물.
정의
경기도 화성시 봉림사에 있는 고려시대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보물.
개설

198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봉림사 극락전에 봉안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으로, 1978년 개금불사 과정에서 사리병, 전적류, 섬유류, 곡물류, 구슬 등의 복장유물과 함께 조성개금기가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불상의 존명은 무량수여래(無量壽如來)이며, 1362년(공민왕 11)과 1583년(선조 16) 개금되었음이 밝혀졌다. 1362년 이전에 조성된 고려시대 불상이다. 복장유물 중 전적류 8종 17점은 199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내용 및 특징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고개를 약간 숙이고 오른손은 가슴 부위로 올리고 왼손은 수평으로 들어 엄지와 중지를 맞댄 손 모습을 하고 결가부좌로 앉아 있다. 안정적인 신체비례와 당당한 체구, 머리와 경계가 없는 낮은 육계, 뚜렷한 이목구비, 양감 있는 가슴과 배가 특징이다. 얼굴은 이마가 넓고 턱 부분이 둥글고 갸름한 편이며 반개한 눈에 오똑한 콧날, 외곽선이 뚜렷한 입술로 부드러우면서도 위엄있는 표정이다. 착의법은 안에 편삼을 입고 그 위에 변형편단우견으로 대의를 걸친 변형통견식이다. 옷주름은 사실적인데 특히 대의가 왼쪽 어깨로 넘어가면서 형성된 좁은 잔주름은 이 불상의 특징으로 특히 13세기 여래상에 나타나는 표현이다. 또한 무릎 아래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린 옷자락과 왼쪽 무릎 위로 대의자락이 흘러내리면서 나뭇잎처럼 접힌 옷자락도 특징적이다. 이 여래좌상에 보이는 얼굴의 형태라든지 굴곡진 가슴, 매듭이 없는 승각기 그리고 옷주름 등은 1274년 중수된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보물, 2010년 지정)과 비슷하다.

복장유물 가운데 소자금강반야바라밀경(小字金剛般若波羅密經)은 권말에 무의자혜심(無衣子慧諶)이 발문을 적었다. 혜심은 조계산 수선사의 2세 국사로서 이 불상의 제작 시기 추정에 참고가 된다.

의의와 평가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체구에 비해 큰 얼굴과 안정감있는 신체, 부드러운 옷주름과 양감이 특징인 고려시대 13세기를 대표하는 우수한 작품이다. 내부에서 발견된 복장물 역시 서지학 연구에 중요하며 자료적 가치도 높다.

참고문헌

『고려후기 불교조각 연구』(정은우, 문예출판사, 2007)
「13세기 고려 목아미타불상과 복장묵서명」(최성은,『한국사학보』, 고려사학회, 2008)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의 복장전적」(천혜봉,『서지학』7, 한국서지학회, 1982)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정은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