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경흥사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으로, 불상 내부에서 발견된 조성발원문(造成發願文)과 대좌 묵서명 기록을 통해 1644년 조각승 청허(淸虛)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1990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에서 2012년 2월 보물로 승격되었다.
항마촉지인을 한 목조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좌상이 협시하고 있는 삼존불이다. 조성발원문에 따르면 1635년부터 선승들이 동학산(動學山) 남쪽 기슭에 새로운 사찰을 창건하고자 도모하였고 1644년 영규(靈圭)에 의해 경흥사가 중건되었다고 한다. 같은 해 수화원 청허(淸虛)를 비롯해 영색(英賾), 현욱(玄旭), 정혜(淨惠), 신웅(信雄), 나흠(懶欽), 영이(榮伊) 등 7명의 조각승이 석가삼존상을 조성하였다.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은 등신대의 규격에 단정하면서도 위엄있는 모습이다. 삼존상은 여래와 보살의 도상적인 차이는 있지만 신체비례와 얼굴, 옷주름 표현 등에서 매우 유사하다. 어깨와 무릎이 넓어 당당하며, 방형의 얼굴에 작은 이목구비, 꽃잎모양으로 접은 승각기, 단정하면서도 간결한 옷주름 등이 특징이다.
석가여래상은 변형편단우견식 대의에 항마촉지인을 결하였는데 왼쪽 손의 엄지와 중지를 구부렸다. 낮은 육계에 중간계주와 중앙계주가 있으며 얼굴 표정은 엄숙하면서도 온화한 모습이다. 좌우 보살상들은 화려하게 장식된 큰 보관을 쓰고 어깨에 늘어뜨린 머리카락(보발), 편삼을 입은 변형통견식 대의에 수평의 승각기로 석가여래와 차별화되었다. 두 손은 무릎에 대고 엄지와 중지를 구부렸는데, 우협시보살은 손바닥을 밑으로 향한 반면 좌협시는 손바닥을 위로 향하여 다른 형식을 보인 점이 독특하다.
조각승 청허는 원오(元悟)의 차화승으로 1605년 경상남도 김해 선지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충청남도 논산 쌍계사 대웅전 목조삼존불좌상, 전북특별자치도 익산 관음사 목조보살입상 등을 제작하였다. 또한 각민(覺敏)의 차화승으로 1606년 충청남도 공주 동학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1614년 전라남도 순천 송광사 대웅전 불상에 참여하였다. 즉 청허는 17세기 초엽 충청도, 전라도 지역을 거점으로 원오와 각민에게 불상의 조각 기술을 배웠다고 할 수 있다. 이후 1640년 경상남도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보물, 2010년 지정) 제작에 수화승으로 등장하며 경흥사 불상과 1645년 경상북도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보물, 2010년 지정) 등 주로 경상도 지역에서 많은 작품을 남기고 있다. 그러나 경흥사 불상 조성발원문에는 청허를 전라도 금산사 화원이라고 밝혀 전라도 지역에서 활동하였음도 확인된다.
1644년 경산 경흥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은 17세기 전반기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일대에서 활동한 청허에 의해 조성되었다. 등신대의 크기에 위엄과 온화함을 갖춘 얼굴, 작은 이목구비, 균형 잡힌 비례와 간결한 옷주름에서 17세기 전반기 전라도와 경상도에서 활동했던 청허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