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주 흑교리 유적 ( )

목차
관련 정보
황해 황주 흑교면 흑교리 입형동기, 동제시
황해 황주 흑교면 흑교리 입형동기, 동제시
선사문화
유적
북한 황해북도 황주군에 있는 철기시대 세형동검 · 오수전 · 토기 등이 출토된 움무덤. 토광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 황해북도 황주군에 있는 철기시대 세형동검 · 오수전 · 토기 등이 출토된 움무덤. 토광묘.
내용

흑교리역에서 동쪽으로 약 4㎞ 떨어진 지점의 평지 가운데 솟아 있는 얕은 대지에서 우연히 발견되었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미쓰이광산(三井鑛山) 채굴을 위하여 팠던 시굴 구덩이에서 1907년에 유물이 출토되었다고 한다.

이 후 1913년세키노(關野貞)와 다니이(谷井濟一)가 다시 현장을 답사하였으나 유적구조는 밝히지 못하고 약간의 토기파편만 수집하였는데, 유구(遺構)는 출토유물의 성격으로 보아 움무덤[土壙墓]일 가능성이 높다.

발견된 유물로는 날이 평행에 가까운 후기양식의 세형동검 1점, 동모(銅鉾) 1점, 十자형 칼자루끝장식[劍把頭飾] 1점, 전한시대의 오수전(五銖錢) 2점, 을자형관금구(乙字形管金具) 2점, 삿갓형자루끝[笠形柄頭] 3점, 일산살대투겁[蓋弓帽] 1점, 숟가락 1점 등 청동제품 12점이 있다. 청동유물 표면에는 철녹이 엉켜붙은 것이 많은데, 이로 보아 철제품도 같이 묻혔으나 모두 삭아 없어지고 흔적만 남은 듯하다.

이 밖에 회청색의 삿무늬[繩蓆文]토기편, 회백색의 바탕흙이 고운 토기편들도 발견되었는데, 한식(漢式) 토기편으로 보인다. 특히, 오수전은 전한 신작(神爵) 2년(서기전 60)의 주조품인 천상횡문(穿上橫文)으로 밝혀져 고분과 청동유물의 연대추정에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朝鮮古文化綜鑑』1(藤田亮策·梅原末治, 養德社, 1947)
「南朝鮮に於ける漢代の遺蹟」(藤田亮策 外,『大正十一年度古蹟調査報告』2, 1925)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