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년첨례광익』은 조선 후기 천주교회에서 간행한 연중 교회 축일에 대한 해설서이자 신심 서적, 성인 전기이다. 1865년 목판본으로 인쇄된 이후 1884~1885년 활판본으로 간행되었고, 1899년과 1908년에 중간되었으며, 1930년 신판으로 새로 간행되었다. 『성년광익』을 저본으로 삼아 내용의 일부를 발췌해 새로운 순서로 편집했으며, 몇 가지 축일을 추가했다. 53명의 성인과 관련된 총 93개 항목에 대한 설명이 실려 있다. 축일 순서대로 배치되지 않고 신자들의 신앙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성인들을 선별해 수록했다.
제4대 조선대목구장 주1 주교의 감준(監準) 아래 1865년 서울에서 목판본으로 간행되었으며, 제7대 조선대목구장 블랑(Blanc) 주교의 감준 아래 1884~1885년 일본 나가사키에서 활판본 4권 4책으로 간행되었다. 활판 초간본(4권 4책)은 제8대 조선대목구장 주2 주교의 감준 아래 1899년과 1908년에 서울에서 중간되었다. 1930년에는 뮈텔 주교의 감준 아래 새로운 판형을 사용하면서 신판(합본 1책)으로 간행되었다.
베르뇌 주교는 신자 교육과 천주교 전파를 위해 1861년 서울에 목판 인쇄소를 설립하고 천주교 서적을 대량 인쇄하여 보급했다. 주3, 주4, 신심서, 첨례표(전례력)와 함께 축일 해설서 및 성인 전기에 해당하는 『주년첨례광익』을 간행했는데, 현재까지 실물이 발견되지 않고 있다. 그렇지만 1865년 목판본의 필사본과 블랑 주교의 서한(1882년 2월 22일 자)에 의하면, 상하권 2책으로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1881년 나가사키에 설립된 조선대목구의 인쇄소인 성서활판소(聖書活版所)에서 1866년 박해 이전에 간행된 목판본 책들과 새로운 책들을 활판으로 간행했는데, 이 과정에서 『주년첨례광익』도 간행되었다. 성서활판소는 1885년 서울로 이전되었다. 1899년에 『주년첨례광익』 중간본이 간행되었는데, 활판 초간본의 오류를 수정했다. 1908년 중간본은 1899년 판본과 내용은 같지만, 주5과 권차 표시 방법이 달라졌다. 1930년 신판 역시 기존 판본과 내용은 같지만 새로운 인쇄 방식과 활자를 도입했기 때문에 ‘제1판’으로 명기되었다.
『주년첨례광익』 간행 이전에 조선 신자들 사이에 축일 해설서 및 성인 전기로 알려진 책으로는, 드 마이아(de Mailia) 신부가 1783년에 저술한 『성년광익(聖年廣益)』과 저자 미상의 또 다른 『성년광익』이 있다. 『주년첨례광익』과 비교해 보면 두 『성년광익』 중 저자 미상의 『성년광익』이 『주년첨례광익』의 저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주년첨례광익』은 저자 미상 『성년광익』의 번역본이 아니라 그 내용의 일부를 발췌해서 새로운 순서로 편집한 것이다. 또한, 『성년광익』에는 없는 ‘찬송 예수 성명’ · ‘성모 통고’ · ‘성녀 바르바라’ 등의 항목이 있다. 『성년광익』을 토대로 했으면서도 나름대로의 기준에 따라 몇 가지 축일을 추가한 것이다.
4권 4책의 활판본을 보면, 예수 · 성모 마리아 · 천사들 및 53명의 성인과 관련된 총 93개 항목에 대한 설명이 실려 있다. 제1권에는 주일 · 사계 소재 등 24개 항목, 제2권에는 예수 성체 · 예수 성심 등 24개 항목, 제3권에는 복음사가인 마태오 사도와 요한 사도 등 21개 항목, 제4권에는 성 베네딕도 · 성 레오 교황 등 24개 항목이 실려 있다. 각 항목에는 해당 축일의 의미를 해설하고 신자들이 ‘마땅히 행할 덕’〔當行之德〕과 묵상 주제를 제시하고 있다. 『성년광익』처럼 1년 동안의 축일 순서대로 성인들이 배치되지 않고, 대천사, 성 요셉, 사도, 복음서 사가, 교회 박사, 수도자, 여성 순교자들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당시 신자들의 신앙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성인들을 선별적으로 수록한 것이다.
『주년첨례광익』은 주요 축일 및 성인 축일의 의미를 해설하고 신자들이 실천할 덕목과 묵상 주제를 제시함으로써 신자들이 주6에 따른 신앙 생활을 할 때 도움을 주는 천주교 서적이다. 저자 미상의 『성년광익』을 저본으로 하면서도 독자적인 기준에 따라 체제와 내용을 재편했다는 점에서 당시 조선 천주교의 상황과 선교 사제들의 선교 방침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