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양 춘포짜기 ( 짜기)

목차
관련 정보
청양 춘포짜기
청양 춘포짜기
의생활
개념
충청남도 청양 지역에서 전승되어 온 춘포 제직 기술 및 장인.
내용 요약

청양 춘포짜기는 충청남도 청양 지역에서 전승되어 온 춘포 제직 기술 및 장인이다.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25호로 지정되었다. 춘포는 경사에 명주실, 위사에 모시실을 섞어 제직하는 교직물이다. 춘포짜기 과정은 명주실과 모시실 준비하기, 베날기, 날실 바디에 끼우기, 새몰기, 베매기, 씨실 준비하기, 베짜기, 띄우기 순으로 이루어진다.

목차
정의
충청남도 청양 지역에서 전승되어 온 춘포 제직 기술 및 장인.
내용

춘포(春布)는 근대기 이후 공주 일대에서 많이 제직되었으나 현재는 청양 인근에서만 그 기능이 전수되고 있다. 청양 춘포짜기는 1998년에 충청남도 주20 제25호로 지정되었다.

춘포는 날실[경사]에 명주실, 씨실[위사]에 모시실을 섞어 제직하는 주6이다. 춘포짜기의 과정은 명주실과 모시실 준비하기, 베날기, 날실 주21에 끼우기, 새몰기, 주10, 씨실 준비하기, 베짜기, 띄우기 순으로 이루어진다. 청양 춘포짜기에는 베틀을 비롯하여 대부분 전통적인 도구들이 사용되지만, 주2나 개량 주3과 같은 근대식 도구도 활용된다.

명주실은 얼레에 감아 준비하고, 모시실은 주7 상태로 마련해 놓는다. 베날기는 조슬대를 통해 뽑아져 나온 명주실 10올을 주8을 지어가며 순서대로 날틀에 거는 주9 과정이다. 일반적인 전통 직물 제직에서 ‘새쫓기’는 엄지와 검지를 사용하여 잉아올과 사올을 구분하지만, 청양에서는 엄지손가락만 사용하여 새를 짓는 것이 특징이다. 베날기가 끝나면 새몰기와 베매기 전에 바디 끼우기를 하는데, 바디 1구멍에 날실 2올씩을 끼우며 모두 끼우고 나면 여러 가닥으로 나누어 묶고 사침을 바디 뒤에서 앞으로 옮기는 새몰기를 한다.

베매기는 주13에 풀을 먹여 주4에 감는 과정이다. 춘포짜기에 사용하는 풀은 콩물을 묽게 끓인 후 치자물을 섞은 것이다. 풀솔로 날실에 풀을 바르고 손으로 비벼 주며 골고루 풀이 스미도록 한다. 벳불에 의해 풀이 마르면 날실 사이에 주12나 종이를 끼워 가며 도투마리에 날실을 감는다.

날실 준비가 끝나면 직물을 짜기 전 씨실용 주14을 전대에 감아 주15를 만든다. 씨실 꾸리는 사용하기 전 쌀뜨물에 2~3일 정도 담가 두었다가 사용한다. 이렇게 하면 모시실이 하얗게 빛이 나고 부드럽다. 사용할 때는 물을 뺀 다음 헝겊에 싸서 주16에 넣는다.

베틀은 기대를 조립하여 준비하고 도투마리를 주22 위로 올린 다음 주5를 만들고 비거미를 사올과 잉아올 사이에 끼운다. 잉아는 주17주18에 연결되어 끌신을 앞으로 잡아당기면 잉아에 끼워져 있는 잉아올이 올라가면서 주23가 이루어진다. 베짜기는 주24 때문에 벌어진 날실 사이에 북을 넣고 위사를 바디로 쳐서 한 번 짜고, 잉아를 들어 올려 만들어진 날실 개구 사이에 북을 넣고 바디로 치는 과정을 반복하며 진행한다.

명주나 모시, 삼베는 제직한 후에 세척하여 풀기를 뺀 다음 주19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춘포는 세척이나 정련을 하지 않고 바로 사용한다. 따라서 베매기를 할 때 먹인 콩풀과 치자물이 그대로 남아 까슬까슬하고 노르스름한 색을 띤다. 다만 직기에서 내린 춘포는 베의 양 끝을 잡아당겨 판판하게 펴는 작업만 하는데 이 과정을 ‘춘포 띄운다’라고 한다. 이렇게 띄운 춘포는 바로 마름질하여 옷을 지어 입을 수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심연옥, 『한산 세모시짜기·청양 춘포짜기』(민속원, 2011)
주석
주1

‘새쫓기’는 전통직조 과정에서 날실을 잉아올과 사올로 구분지어 ‘사침 짓는 일’을 말한다.

주2

연줄, 낚싯줄 따위를 감는 데 쓰는 기구. 나무 기둥의 설주를 두 개나 네 개 또는 여섯 개로 짜서 맞추고 가운데에 자루를 박아 만든다. 우리말샘

주3

길쌈할 때 필요한 실을 뽑아내는 틀. 열 개의 구멍에 각각 가락을 꿰어 열 올의 실을 한 줄로 뽑아낸다. 우리말샘

주4

베를 짜기 위해 날실을 감아 놓은 틀. 베틀 앞다리 너머의 채머리 위에 얹어 두고 날실을 풀어 가면서 베를 짠다. 우리말샘

주5

베틀의 날실을 한 칸씩 걸러서 끌어 올리도록 맨 굵은 실. 우리말샘

주6

두 가지 이상의 실을 섞어서 짠 직물. 우리말샘

주7

전통 모시를 짜는 과정의 하나. 모시풀에서 뽑아낸 태모시 올을 손바닥으로 비벼 연결하여 모시를 만든다. 우리말샘

주8

베틀의 비경이 옆에서 날의 사이를 띄어 주는 두 개의 나무나 대. 우리말샘

주9

일정한 길이의 날실을 필요한 수만큼 가지런히 펴서 도투마리에 감는 일. 우리말샘

주10

베를 짜려고 날아 놓은 실을 매는 일. 우리말샘

주12

베틀로 베를 짤 때 쓰는 연장의 하나. 나뭇가지로 만들며, 도투마리에 날실을 감을 때 날실끼리 엉기는 것을 막기 위하여 날실 사이사이에 끼운다. 우리말샘

주13

천이나 그물을 짤 때, 세로 방향으로 놓인 실. 우리말샘

주14

모시에서 뽑은 실. 우리말샘

주15

둥글게 감아 놓은 실타래. 우리말샘

주16

베틀에서, 날실의 틈으로 왔다 갔다 하면서 씨실을 푸는 기구. 베를 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배 모양으로 생겼다. 우리말샘

주17

건축물ㆍ승교ㆍ상여 따위에 다는, 용의 머리 모양을 새긴 장식. 우리말샘

주18

뒤축은 없고 발의 앞부분만 꿰어 신는 신. 우리말샘

주19

섬유를 순수하고 깨끗한 것으로 만들기 위하여 불순물을 걸러 없애는 일. 우리말샘

주20

연극, 무용, 음악, 공예 기술 따위의 무형의 문화적 소산으로 역사적 또는 예술적으로 가치가 큰 것. 그 대상이 형체가 없기 때문에 대부분 그 기능을 갖고 있는 사람이 지정의 대상이 된다. 우리말샘

주21

베틀, 가마니틀, 방직기 따위에 딸린 기구의 하나. 베틀의 경우는 가늘고 얇은 대오리를 참빗살같이 세워, 두 끝을 앞뒤로 대오리를 대고 단단하게 실로 얽어 만든다. 살의 틈마다 날실을 꿰어서 베의 날을 고르며 북의 통로를 만들어 주고 씨실을 쳐서 베를 짜는 구실을 한다. 우리말샘

주22

천을 짜는 기계. 우리말샘

주23

천을 짜는 단계의 하나. 씨실이 날실에 걸쳐질 수 있게 종광틀을 주어진 조직에 따라 위아래로 움직여 씨실이 담긴 북이 통과할 수 있는 북길을 만들어 준다. 우리말샘

주24

베틀에 딸린 제구의 하나. 잉아의 뒤와 사침대 앞 사이에 날실을 걸치도록, 가는 나무 세 개를 얼레 비슷하게 벌려서 만든 것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