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의생활
개념
능조직으로 제직된 견직물.
이칭
이칭
고로, 능자(綾子)
내용 요약

능(綾)은 능조직(綾組織)으로 제직된 견직물이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직물 품종이었으나 조선시대에 단(緞) 직물이 유행하면서 점차 사용 범위가 줄어들고, 조선 후기에는 제직이 단절된다. 능은 제직법에 따라 무문능, 문능, 이색능 등의 종류가 있다.

목차
정의
능조직으로 제직된 견직물.
내용

능(綾)은 능조직(綾組織)으로 제직된 견직물을 말한다. 능직물은 문헌 속에서 능(綾) 혹은 능자(綾子)로 기록되고, 주16’, ‘능’으로 언해되었다. 주7주8, 주9과 함께 삼원 조직이라 하며, 서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서 기원하여 이른 시기부터 모직물 제직에 사용되었다. 이것은 7세기 이후 동아시아로 전파되어 견직물 제직에 적용되면서 주4으로 발전된다.

능직은 주5주6가 3올 이상으로 조직되어 1완전 주17을 형성한다. 조직점이 연속되면서 직물 표면에 규칙적인 주10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어, 주18이라고도 칭한다. 능조직은 1완전 조직의 매수에 따라 3매, 4매, 5매, 6매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조직 구조에 따라 표면에 경사가 많이 드러나는 경능직과 위사가 많이 보이는 위능직이 있다.

전통적인 능직물은 무늬가 없는 무문능(無紋綾)과 무늬가 있는 문능(紋綾)으로 구분된다. 무문능은 경능조직으로 제직되는데 드물게 혼합 주11을 사용하기도 한다. 문능은 단층의 문직물로 바탕 조직은 경사가 많이 드러나는 경조직을 사용하며, 무늬 부분은 위조직으로 제직되지만 드물게 바스켓 조직, 위부직, 위수자직, 변측 위수자직을 사용하기도 한다. 경사와 위사의 색을 달리하여 이색으로 표현하는 이색능도 있다. 능직물은 14세기 말 수자조직의 단(緞) 직물이 출현하여 확산하기 이전까지 삼국시대에서 조선 전기까지 가장 널리 사용된 전통 직물 품종이다.

우리나라에서 능은 삼국시대부터 사용된 기록이 보이며, 『삼국사기(三國史記)』 흥덕왕 복식금제에는 통일신라에서 능(綾)과 소문능(小文綾) 등이 주1, 내의(內衣), 버선감(襪), 방석 등에 사용되었음이 나타난다. 『삼국사기』 차기조(車騎條)에는 금은옥(金銀玉)으로 장식한 우교차(牛轎車) 안에 세금(細錦)과 이색능(二色綾)으로 자리를 깔았다고 하였다. 경주 천마총, 경주 불국사 주12,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등에서 무문능(無紋綾), 문능(紋綾)의 잔편들이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주13』에는 고려의 귀부인들은 주2와 화능(花綾)의 옷을 입고 주3을 차며, 옷에는 그림[繪]을 그리고 자수[繡]로 장식하였다고 한다. 액정국(掖庭局), 잡직서(雜織署)에는 능을 짜던 관영 공장인 능장(綾匠)이 설치되어 전문적으로 능을 생산하였다. 고려시대 능직물은 불 복장에서 대량으로 발견되는데 무문능, 문능, 이색능 등 다양하고 풍부하게 남아 있어 고려시대 성행했던 능직물 제직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능직물의 문양은 주14, 과문, 주15, 연당문 등 다양하게 나타난다.

『경국대전(經國大典)』 「공전(工典)」 ‘경공장(京工匠)조’에 주19이 있어 고려에 이어 조선 전기까지도 능은 라와 함께 대표적인 견직물 품종이었음이 나타난다. 조선시대 능의 문양은 기하문, 절지화문, 만초화문, 금상첨화문 등이 있으며 단직물에서 보이는 운문, 보문 등 화려한 문양은 보이지 않는다. 15~16세기에 수자조직의 단직물 제직이 본격화되면서 능직물의 생산은 감소하고 사용 범위도 줄어들게 된다. 17세기까지는 불복장과 출토 유물, 전세 유물에서 능 유물이 발견되지만, 18세기 이후에는 문헌 기록과 유물에서 거의 찾아볼 수 없게 된다.

능직물은 대표적인 전통 직물 품종의 하나로 그 역사적 가치가 크다. 단직물만큼 화려하지는 않으나 조촐하고 은은한 광택을 지닌 견직물이다.

참고문헌

원전

『삼국사기(三國史記)』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
『경국대전(經國大典)』

단행본

민길자, 『전통 옷감』(대원사, 1998)
심연옥, 『한국 직물 오천 년』(고대직물연구소, 2002)

논문

조효숙·이은진, 「17세기 한국 綾 직물 연구」(『복식』 63-4, 한국복식학회, 2013)
주석
주1

겉에 입는 옷. 우리말샘

주2

무늬가 있는 비단. 우리말샘

주3

비단으로 만든 향주머니. 우리말샘

주4

전통 직물의 하나로, 능직으로 짠 무늬가 있는 비단. 우리말샘

주5

천이나 그물을 짤 때, 세로 방향으로 놓인 실. 우리말샘

주6

천이나 그물을 짤 때, 가로 방향으로 놓인 실. 우리말샘

주7

직물의 기본 조직의 하나. 날실과 씨실을 둘이나 그 이상으로 건너뛰어 무늬가 비스듬한 방향으로 도드라지게 짜는 방법을 말한다. 우리말샘

주8

씨와 날을 한 올씩 엇바꾸어 짜는 방법. 또는 그렇게 짠 천. 질기고 실용적이어서 많이 쓴다. 광목ㆍ모시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주9

옷감을 짜는 방법의 하나. 날실과 씨실을 서로 얽혀 짜지 않고 일정하게 몇 올을 떼어서 짜는 방법으로 표면이 매끄럽고 윤이 나며 주로 양단, 공단 따위의 비단 옷감을 짤 때 쓴다. 우리말샘

주10

능직 직물의 표면에 나타나는 비스듬한 선. 우리말샘

주11

사선으로 골이 진 모양이 방향과 각도가 다르도록 교차하여 짜는 조직. 반대 방향으로 만난 사선의 골이 격자를 만들고 그 격자 안에 사선의 골이 생긴다. 우리말샘

주12

경주 불국사의 대웅전 앞에 있는 두 탑 중 서쪽에 있는 탑. 통일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2층의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이 있다. 1966년 10월 탑을 수리할 당시 석탑 내에서 동경(銅鏡) 및 옥류(玉類), 은제 사리 내합 및 외합, 금동제 사리 외합 따위가 발견되었다. 국보 정식 명칭은 ‘경주 불국사 삼층 석탑’이다. 우리말샘

주13

고려 시대에, 송나라 사신 서긍(徐兢)이 고려에 와서 보고 들은 것을 기록한 책. 인종 원년(1123)에 간행되었다. 40권. 우리말샘

주14

직선이나 곡선이 교차하면서 만들어내는 여러 도형들로 이루어진 추상적인 무늬. 우리말샘

주15

꽃과 새를 넣은 무늬. 우리말샘

주16

‘능’의 옛말. 우리말샘

주17

천의 무늬를 만드는 기초 단위. 이 기초 단위를 기본으로 하여 사방으로 반복해서 천을 짠다. 우리말샘

주18

무늬가 비스듬히 사선으로 나타나도록 짠 옷감. 우리말샘

주19

조선 시대에, 상의원에 속하여 비단을 짜던 장인(匠人).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