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관련 정보
의생활
개념
조선시대, 수자 조직으로 제직된 견직물.
이칭
이칭
저사(紵絲), 단자(段子), 단(段)
내용 요약

단(緞)은 수자 조직(繻子組織)으로 제직된 견직물이다. 단직물은 고려 후기부터 사용되지만 일반화된 것은 조선시대이다. 단의 종류에는 무문단, 문단, 이색단 등이 있다. 현재까지도 단은 자카르식 직조기로 다양한 품종이 생산되어 전통 한복감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수자 조직으로 제직된 견직물.
내용

단(緞)은 주22 조직(繻子組織)으로 제직된 견직물이며, 문헌에는 단(段, 緞), 단자(段子), 주5 등으로 기록되었고, 조선시대의 언해(諺解)로는 ‘비단’이라 하였다. 조선 전기의 단직물은 저사라는 명칭으로 많이 사용된다. 수자 조직은 주1, 주2과 함께 삼원 주6이라 부르며 8~9세기 금(錦)의 조직으로 처음 사용되고, 13~14세기경에 이르러서 단직물로 나타난다.

수자 조직은 주7주8주9을 적게 하고 분산시켜 광택이 많이 나고 매끄럽다는 특징이 있다. 짜임에 따라 경사가 표면에 많이 드러난 주10 직, 위사가 많이 드러나는 주11 직이 있다. 무늬가 없는 무문단[공단]은 경수자 조직으로 제직하고, 무늬가 있는 문단(紋緞)은 경수자 조직의 바탕에 위수자 조직으로 무늬를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문단은 문헌 중에 주12’으로 나타나며, 우리말로는 ‘스민문 단’이라고 하였다. 경사와 위사의 색을 달리하여 바탕과 문양을 다르게 표현한 이색단(二色緞)도 있다. 조선시대의 단직물은 대부분 주13으로 제직하여 주14 부분을 다양한 색으로 표현하였다.

단직물은 고려 후기부터 사용되지만, 일반화된 것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이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가장 이른 시기의 단은 1346년에 조성된 청양 장곡사 금동 약사여래 좌상주15에서 발견된, 무늬가 없는 소색(消色) 단이다.

단의 직조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는 15세기 초이다. 조선 태종 16년(1416)에 처음으로 주3과 별도로 ‘단자 주16’을 설치하여 전문적으로 단을 제직하였다. 연산군 8년(1502)에는 능라장을 북경에 보내어 저사의 염색과 제직법을 익히게 하였으며, 연산군 10년(1504)에는 저사를 짜는 특별한 관청 이름을 ‘통직(通織)’이라 하고, 저사의 허리를 묶는 종이에 그 관청의 감직관(監織官) · 직조장(織造匠) · 주4 · 집경장(執經匠) · 집위장(執緯匠) · 염장(染匠)의 성명과 연월일을 쓰게 하였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저사의 직조를 맡은 관원에게 능라장 · 화원(畫員)을 거느리고 주17를 가지고 들도록 한 기록도 있어, 다방면으로 단 직조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의 문헌에는 단의 명칭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조선시대 주18에서 주19되는 복식에서도 대량의 단직물이 발굴되고 있어 조선시대에 단은 상류 계층의 중요한 주20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문헌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단 직물의 종류는 소단(素緞), 단(緞), 필단(匹緞), 주30, 별문단(別紋緞), 오사단(五絲緞), 팔사단(八絲緞), 주29, 양색고단(兩色庫緞), 주28, 주23, 주24, 주25, 주26, 팽단(彭緞), 주27, 석청단(石靑緞) 등이 있다. 문양은 연화문, 모란문, 운문, 오호로문(五葫蘆紋), 보문, 화조문, 사계화문, 별문, 도류문, 편복문, 곤충문, 문자문 등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단은 현재까지도 자카르식 주21로 다양한 품종이 제직되어, 남녀노소의 한복감뿐만 아니라 다양한 공예품 제작에도 사용되고 있다.

참고문헌

원전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단행본

민길자, 『전통 옷감』(대원사, 1998)
심연옥, 『한국 직물 오천년』(고대직물연구소출판부, 2002)

논문

이은진·조효숙·홍나영, 「조선 말기 緞의 종류 및 특성에 관한 연구」(『한국복식학회지』 57-3, 한국복식학회, 2007)
주석
주1

씨와 날을 한 올씩 엇바꾸어 짜는 방법. 또는 그렇게 짠 천. 질기고 실용적이어서 많이 쓴다. 광목ㆍ모시 따위가 있다.

주2

직물의 기본 조직의 하나. 날실과 씨실을 둘이나 그 이상으로 건너뛰어 무늬가 비스듬한 방향으로 도드라지게 짜는 방법을 말한다.

주3

조선 시대에, 상의원에 속하여 비단을 짜던 장인(匠人).

주4

천의 무늬를 짜는 일을 맡아 하던 사람.

주5

중국에서 생산되는 사(紗)의 하나. 흔히 사모(紗帽)를 만드는 데 쓴다. 우리말샘

주6

직물 조직의 기본 세 가지. 평직, 능직, 수자직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7

천이나 그물을 짤 때, 세로 방향으로 놓인 실. 우리말샘

주8

천이나 그물을 짤 때, 가로 방향으로 놓인 실. 우리말샘

주9

직물의 씨와 날이 엇갈리는 점. 우리말샘

주10

날실이 직물 표면에서 많이 떠 보이게 짜는 수자직. 우리말샘

주11

씨실이 직물 표면에서 많이 떠 보이게 짜는 수자직. 우리말샘

주12

무늬가 있는 중국 비단의 하나. 무늬는 어둡게 보이고 바탕은 밝게 보인다. 우리말샘

주13

색천이나 색실을 생산할 때에, 원료 상태에서 물들이는 일. 우리말샘

주14

올이 풀리지 않게 짠, 천의 가장자리 부분. 우리말샘

주15

불상(佛像)을 만들 때, 그 가슴에 금ㆍ은ㆍ칠보(七寶)와 같은 보화(寶貨)나 서책(書冊) 따위를 넣음. 우리말샘

주16

조선 시대 태종 16년(1416) 5월에 중국에서 나는 견직물을 짜기 위하여 설치한 관아. 우리말샘

주17

파랑, 노랑, 빨강, 하양, 검정의 다섯 가지 색. 우리말샘

주18

송장이나 유골을 땅에 묻어 놓은 곳. 흙으로 둥글게 쌓아 올리기도 하고 돌로 평평하게 만들기도 하는데, 대개 묘석을 세워 누구의 것인지 표시한다. 우리말샘

주19

땅속에 묻혀 있던 물건이 밖으로 나옴. 또는 그것을 파냄. 우리말샘

주20

옷감이나 옷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1

무늬 있는 천을 짤 때, 날실을 엇바꾸어 아래위로 이동시키는 직기. 프랑스의 자카르가 발명한 것으로, 다수의 날실을 자유롭게 움직여 큰 무늬를 짤 수 있다. 베틀에 장치하는 장치로 많은 종류의 경사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우리말샘

주22

견직물의 하나. 일반적으로 수자직의 양복지를 이른다. 광택이 곱고 보드랍기 때문에 장식적인 여성복, 핸드백, 모자 따위에 사용하는 천이다. 우리말샘

주23

씨실과 날실의 색을 다르게 하여 짠 견직물. 색이 화려하고 무늬에서 광택이 난다. 우리말샘

주24

중국에서 나는 비단의 하나. 모초(毛綃)와 비슷한데 품질이 조금 낮다. 우리말샘

주25

중국에서 나는 비단의 하나. 우리말샘

주26

무늬가 없는 명주. 우리말샘

주27

용 모양을 수놓은 비단. 우리말샘

주28

중국에서 나는 비단의 하나. 우리말샘

주29

중국 비단의 하나. 가는 실로 촘촘히 짠 것으로 윤이 나고 두껍다. 우리말샘

주30

무늬가 있는 비단.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