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도사 괘불탱 ( ▽)

양산 통도사 괘불탱
양산 통도사 괘불탱
회화
유물
문화재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화.
정의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통도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화.
개설

2002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괘불이란 절에서 큰 법회나 의식을 행하기 위해 법당 앞뜰에 걸어놓고 예배를 드리는 대형 불화를 말한다. 이 괘불은 1폭으로, 1792년(정조 16) 지연(指演)을 비롯한 22명의 화승(畵僧)들이 참여하여 조성되었음을 화기(畵記)를 통해 알 수 있다.

내용

이 괘불탱은 머리에 보관을 쓰고 정면을 향한 채 서서 두 손에 연꽃가지를 받쳐들고 있는 보살입상이 화면 가득하게 그려진 독존(獨尊) 형식의 불화이다. 두광(頭光)과 신광(身光)을 갖추고 있으며 화면 윗부분에는 옅은 황색과 녹색 구름이 배치되어 있다. 보관 중앙에는 7구의 화불(化佛)이 있는데, 모두 두 손을 합장하고 오른쪽으로 몸을 돌리고 서 있는 입상으로 과거 7불을 표현한 것이다.

특징

이 괘불탱은 조성 시기가 늦고 색채가 강하여 다소 경직된 면이 엿보이기는 하지만, 장식성이 돋보이는 화면에 필선이 유려하여 세련미가 엿보이는 작품이다.

의의와 평가

이 괘불탱은 보존상태가 양호할 뿐만 아니라 특히 둥글넓적한 얼굴과 듬직한 체구, 설법인을 한 손 모양 등의 특징은 1644년(인조 22)에 조성된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과 1772년(영조 48)에 조성된 개심사 영산회 괘불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도상과 양식 변화 파악에 중요한 자료이다.

참고문헌

『한국의 불화』2-통도사 본사편 중-(성보문화재연구원, 1996)
집필자
김영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