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상 (외)

식생활
물품
혼자서 먹도록 차린 음식상. 또는 한 사람 몫으로 차린 음식상.
이칭
이칭
독상
정의
혼자서 먹도록 차린 음식상. 또는 한 사람 몫으로 차린 음식상.
연원 및 변천

1900년대 중반까지 우리나라의 각 가정에서는 웃어른께는 따로 진지상을 한분씩 외상으로 차려드리고, 아이들은 겸상이나 두레반에 차렸다. 혼례나 회갑 등 잔치 때에는 손님들께 국수를 주식으로 한 장국상을 한사람 씩 외상을 차려서 대접한다.

조선시대에 정립된 상차리기는 유교이념을 근본으로 한 대가족제도가 크게 반영되어 있고, 음식을 담는 기명도 상차리기에 따라 대체로 규격화되었다. 일상 시의 밥상은 3첩반상, 5첩반상, 7첩반상으로 차린다. 반찬그릇을 쟁첩이라 하는데 이들 숫자로 (몇)첩반상이라 한다.

사용방법 및 특징

외상을 차릴 때는 수저 한 벌을 상 오른쪽 끝에서 3㎝정도 나가게 놓는다. 앞줄에는 밥을 왼쪽, 국을 오른쪽, 찌개와 찜은 오른 쪽 중간에 놓고, 종지는 밥주발 바로 뒤쪽에 간장·초장·초고추장·초젓국 등의 순서대로 늘어놓으며, 김치는 보시기에 담고 상 뒤쪽 줄에는 왼쪽부터 동치미·배추김치·깍두기의 순으로 놓는다. 오른쪽에 국물김치가 오도록 한다. 반찬 그릇(쟁첩)은 나머지 공간에 놓는데 밑반찬(자반·장아찌·젓갈 등)은 왼쪽에 놓고, 더운 반찬인 전·구이와 회·편육·김구이 등을 오른쪽에 놓는다. 그리고 찜은 합 또는 조반기에 담아서 찌개 뒤에 놓는다.

참고문헌

『한국의 전통음식』(황혜성 외, 교문사, 1990)
『우리나라 음식 만드는 법』(방신영, 장충도서출판사, 1957)
집필자
한복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