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바지

식생활
개념
잔치를 뜻하는 ‘이바디’에서 변한 말로서 정성을 들여 음식 등을 보내 주는 일 또는 그 음식. 이바디 · 신행음식 · 봉송 · 상수 · 차반.
이칭
이칭
이바디, 신행음식, 봉송, 상수, 차반
목차
정의
잔치를 뜻하는 ‘이바디’에서 변한 말로서 정성을 들여 음식 등을 보내 주는 일 또는 그 음식. 이바디 · 신행음식 · 봉송 · 상수 · 차반.
연원 및 변천

이바지는 ‘잔치하다’라는 뜻을 가진 옛말 ‘이받다’에서 유래되었다. 옛날에는 혼례를 치르고 난 후에 신랑과 신부를 맞이하는 양가에서 큰상을 차리고 이를 사돈댁에 보내는 풍습을 ‘상수’라 하였는데, 요즘은 혼례음식으로 이바지 음식을 주는 것으로 변하였다.

내용

이바지 음식을 크게 나누면 안주류 음식과 반찬류 음식, 떡, 과자가 있다. 안주 종류는 마른 것과 진 것이 있는데, 마른 것은 육포·어포·부각 등이며 진 안주는 갈비찜·생선찜·전유어·산적 등이다. 반찬류는 시집가서 새색시가 밥을 짓고 반찬을 해야 하는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친정어머니가 딸 생각을 해서 준비해서 주는 것이다. 그 종류는 자반·젓갈·구이·장아찌, 마른 찬 등이 있다.

떡과 과자는 이바지 음식에서 뺄 수 없는 것으로 찰떡·메떡·약과·강정·다식·정과·깨강정·엿 등이 있다.

이바지의 풍습은 지방마다 서로 다른데, 제주도에서는 혼례에 쓸 물품을 신부댁에 보내는 것을 이바지라고 한다. 경상도에서는 혼례 전날 또는 당일에 혼례 음식을 서로 주고받는데, 예단 음식으로 백설기, 각색 인절미, 절편, 조과, 정과, 과일, 편육, 갈비, 돼지 다리, 소다리, 건어물, 술 등을 서로 주고받는다.

개성 지방에서는 신부가 시댁에 가서 필요한 음식을 만드는데, 떡으로는 수수경단, 인절미, 달떡, 엿, 국수, 돼지다리, 반찬 등을 한다. 특히 신부가 시부모에게 조석으로 문안 인사할 때의 사관(伺觀)음식과 신부가 입주(入廚)할 때 쓸 밑반찬까지 포함하여 마련한다.

참고문헌

『혼례』(한복려, 궁중음식연구원, 2009)
집필자
한복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