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상품은 영화, 방송, 음악 등 지적이거나 창의적이고 정서적인 정보와 의미를 담고 있는 생산물이 상품화된 것을 말한다. 전통적으로 문화산물은 경제적인 대상이라기보다는 교양적인 대상으로 여겨져 왔다. 문화에 대해 경제적인 논리를 적용하고 상품의 관점에서 보는 시각이 활발하게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이는 자본주의의 발전 과정 속에서 문화산업이 엄청난 규모의 경제적 이윤을 발생시키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부터다. 한국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수출중심, 중공업 위주의 경제 성장 정책이 추구되었던 개발독재 시절에 대중문화나 문화산업의 영역은 그리 중요한 경제적 대상으로 여겨지지 않았다. 하지만 민주화가 진전되고 전세계적인 규모로 정보화가 이루어지면서 문화산업의 경제성이 주목되기 시작했고 그와 함께 문화산물을 상품의 관점으로 보는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이른바 콘텐츠(contents)라는 용어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도 문화를 상품으로 보는 시각이 일반화되면서부터이다.
문화상품은 상품 자체가 정보나 의미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공산품과는 조금 다른 상품적 성격을 갖고 있다.
우선 문화상품은 그것의 시장 가치를 예측하기가 대단히 어렵고 불확실하다. 문화상품은 경험재의 속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것의 가치는 소비자가 완전히 소비를 끝냈을 때에만 인식된다. 따라서 사전에 시장에서의 성공 여부를 예측하기가 어렵고 그만큼 시장 실패의 위험(risk)이 크다. 그런 까닭에 문화상품의 생산자들은 가급적 예측가능하고 안정적인 수요를 노리는 투자를 하게 된다. 문화상품에서 특히 선도 상품을 모방하는 경향이 많고 그런 가운데 유행 현상이 자주 나타나는 까닭이 그런 것이다.
문화상품은 대량 복제를 통해 생산되기 때문에 한계생산비가 극히 낮다. 또한 기술 발전 속에서 새로운 창구(window)가 개발됨에 따라 똑같은 콘텐츠를 활용하는 새로운 시장이 창출될 수 있다. 또 문화상품은 소모되는 것이 아니라서 똑같은 상품이 시점을 달리해 소비될 수 있다. 예컨대 오래 전에 만들어진 영화도 언제든 다시 상영되면서 판매될 수 있는 것이다. 또 같은 콘텐츠라고 해도 그것을 담는 용기에 따라 각기 다른 비용이 발생하고 따라서 가격도 달라진다. 예컨대 똑같은 음악도 CD에 담기느냐 MP3으로 유통되느냐에 따라 가격이 달라진다.
문화상품의 소비는 그 자체로 기호적인 성격을 갖는다. 즉 문화상품의 소비는 단지 시장에서의 경제적 효율성이라는 차원에서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문화상품이 표상하는 어떤 의미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특정 영화를 소비한다거나 특정 디자인의 옷을 입는 것은 그 영화나 디자인이 표상하는 어떤 사회적 의미에 공감하고 이를 표상한다는 것을 뜻하게 된다. 이 말은 문화상품의 소비가 단지 경제적 능력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문화적 기호에 대한 이해와 훈련에 의해 영향받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기호적 성격이야말로 문화상품이 여타의 공산품에 비해 가지는 가장 중요한 차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