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자 철화 포도문 호 ( )

목차
관련 정보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공예
유물
문화재
조선 후기 철화안료를 사용해 포도무늬를 그린 백자 항아리.
목차
정의
조선 후기 철화안료를 사용해 포도무늬를 그린 백자 항아리.
개설

1962년 국보로 지정되었다. 조선시대 철화백자 가운데 가장 뛰어난 예술품으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알맞은 높이로 곧게 선 구연과 둥글고 풍만하게 벌어진 어깨에서 아래로 점점 좁아드는 단아한 선의 흐름은 17세기 후반에서 18세기 백자항아리가 보여주는 조형적 미감이다. 몸체의 위 · 아래 부분을 따로 만들어 붙였으며 중앙에 이음선이 있다. 유조(釉調)는 빙렬이 거의 없이 담청(淡靑)을 띤 순백색으로, 형태와 무늬 등과 함께 이 항아리의 격을 최대한 살려주고 있다.

항아리 윗부분에는 철화안료를 써서 포도송이가 달린 포도덩굴을 표현하고, 나머지 부분에는 더 이상 채우지 않고 여백의 미를 표현하였다. 기품있고 세련된 구성, 그리고 포도송이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회화적 기량이 돋보인다. 철화안료의 농담과 눈처럼 맑고 깨끗한 순백색 바탕이 어울려 한층 더 단아하고 격조있는 원숙미를 구현하고 있다.

내용

조선시대에는 해마다 사옹원(司饔院) 소속 관리가 궁중 도화서(圖畫暑)의 화원을 인솔하고 경기도 광주의 관요(官窯)에 가서 관수용(官需用) 및 왕실 진상용 도자기에 그림을 그리게 하였다. 이러한 지속적인 관리 감독의 영향을 받으면서, 관요에서 만든 조선백자 중에는 우아한 화격(畵格)을 갖춘 예술품들이 많이 양산되었다. 조선 초기에는 중국 명나라의 영향이 짙은 장식 무늬도 있었으나, 한국적인 정취와 격조를 갖춘 회화적인 그림으로 발전하였다. 이러한 그림 중에는 청색 안료인 청화(靑畵)로 된 것이 비교적 많은 편이었고, 철화안료로 된 것은 비교적 수가 적었다. 특히 이 항아리의 포도 그림은 격이 다른 차원이라고 할 수 있는데, 당대 최고의 궁중 화원이 기량을 펼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도자공예』(강대규·김영원, 솔출판사, 2004)
『조선시대 도자기』(김영원,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백자·분청사기』Ⅱ(김재열, 예경출판사, 2000)
『조선후기 백자 연구』(방병선, 일지사, 2000)
『한국 도자사의 연구』(강경숙, 시공사, 2000)
『한국도자사연구』(윤용이, 문예출판사, 1994)
『한국도자사』(강경숙, 일지사, 1989)
『한국의 미』2 백자(정양모 감수, 중앙일보사, 1985)
『국보』8 분청사기·백자(정양모 편, 예경출판사, 1984)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