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4 ( )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4
대방광불화엄경 진본 권4
불교
문헌
문화재
동진승려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화엄경』을 고려 숙종연간에 간행한 불교경전. 사찰본.
이칭
이칭
화엄경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보물(1981년 03월 18일 지정)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정의
동진승려 불타발타라가 번역한 『화엄경』을 고려 숙종연간에 간행한 불교경전. 사찰본.
개설

1981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대방광불화엄경』을 줄여서 『화엄경』이라 부르기도 한다.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닌 하나라는 기본사상을 가지고 있으며 화엄종의 근본경전인 『법화경』과 함께 한국 불교사상의 확립에 큰 영향을 끼친 경전이다. 대승불교 초기의 중요 경전이었던 『화엄경』은 불타발타라가 한역한 60권본 외에도 실차난타(實叉難陀)의 80권본과 반야(般若)의 40권본이 있다.

편찬/발간 경위

간행기록이 없어 정확하게 알 수는 없지만 본문 앞의 여백에 권(卷)·장(張)의 순서를 표시한 것, 먹색, 인쇄상태 등이 1098년에 간행된 『화엄경』진본 권37(국보, 1981년 지정)과 매우 비슷하여 고려 숙종(재위 1096∼1105) 대에 판각하여 찍어낸 것으로 추정된다. 간행은 해인사 등 화엄사찰에서 판각한 것으로 보인다.

서지적 사항

상하단변에 상하 간 23.8㎝, 전체크기는 29.3×516㎝이다. 권수제는 ‘진 사 십오(晋 四 十五)’라고 표기하여 진본화엄경 제4권 15장이란 뜻을 나타내고 있다.

이 책은 표지와 권수 12장 20항까지 탈락되고, 나머지 11장 4항이 남아 있는 결락본이다. 권말에는 양 끝에 옻칠이 된 전단목의 권축이 붙어 있다. 현재 성암고서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화엄경』60권 가운데 제4권으로 진본 화엄경 전체 34품 가운데 2번째 품인 노사나불품(盧舍那佛品), 3번째의 여래명호품(如來名號品), 4번째의 사제품(四諦品)의 내용을 담고 있다.

노사나불은 온누리에 광명을 주는 부처님이고, 여래명호는 부처님의 이름이다. 세상의 곳곳마다 부처가 있고, 사람들이 수행을 잘하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제는 고집멸도(苦集滅道)의 불교의 기본 골격인 사성제를 알고 실천하면 누구나 부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의의와 평가

비록 권수에 탈락이 있지만 종이와 판각수법, 인쇄술 등이 매우 뛰어난 고려 숙종 연간의 사찰판본이다. 고려 전기의 목판인쇄 및 화엄경 판본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8(문화재보호협회, 1986)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박상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