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계관방지도 ()

요계관방지도 1~10폭
요계관방지도 1~10폭
인문지리
문헌
국가유산
조선후기 문신 · 학자 이이명이 북벌계획의 일환으로 1706년에 제작한 지도. 관방지도.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요계관방지도(遼?關防地圖)
분류
유물/과학기술/천문지리기구/지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08년 03월 12일 지정)
소재지
서울 관악구 관악로 1,103동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신림동,서울대학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문신 · 학자 이이명이 북벌계획의 일환으로 1706년에 제작한 지도. 관방지도.
개설

2008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비단에 채색된 10폭 병풍지도로 전체 크기는 세로 139.0㎝, 가로 635㎝이다. 이이명이 『주승필람(籌勝必覽)』, 「산동해방지도(山東海防地圖)」, 『성경지(盛京志)』 등의 자료를 활용하여 제작한 지도이다. 중국의 군사관련 정보 및 만주 일대, 조선의 서북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당시 이 지역에 대한 조선의 인식 수준을 잘 보여준다.

편찬/발간 경위

사신으로 북경을 다녀온 이이명(李頤命)은 『주승필람』과 『산동해방지도』 등 두 종류의 지도 자료를 입수하였다. 숙종은 『주승필람』에 실려 있는 중국지도와 급하게 베껴온 「산동해방지도」를 하나로 합쳐 다시 그려 올리도록 명했다. 이때 이이명은 원본지도에서 소략하게 다루어지거나 그려지지 않았던 만주 지역이나 조선의 서북 지역까지 함께 그려 새로운 병풍지도를 제작했다.

내용

이 지도의 내용은 대부분이 중국 전역의 방어태세와 군사시설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이 지도상에 표시된 중국 각 지역의 군사시설들은 명나라 말기의 것이었다. 만주 일대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성경지』에 토대를 두고 있는데, 백두산으로부터 동쪽으로 흐르는 물줄기를 ‘토문강’이라고 적었다. 『대명일통지(大明一統志)』에는 ‘아야고강(阿也苦江)’이라고 적혀 있는데, 훗날 중국에서 이를 ‘토문강’으로 해석하였다. 실제 이 지도에 실려 있는 백두산과 토문강에 대한 인식 역시 『성경지』의 주장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두만강 이북 700리 지점에 있다고 생각되어 오던 선춘령(先春嶺)은 이 지도에서 온성부(穩城府) 건너편에서 멀지 않은 곳에 표시되어 있다. 선춘령 바로 아래로는 온성부 근처에서 두만강으로 합류되는 물줄기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지금의 해란하(海蘭河)에 해당한다. 이 물줄기는 백두산에서 발원하지 않는 것으로 묘사되어 있다. 조선 초기 유형의 지도들에서 분명치 않던 두만강의 남류(南流) 사실은 이 지도에 이르러 좀 더 분명하게 묘사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요계관방지도」는 작자와 제작 시기가 분명하게 확인되는 지도로, 조선 후기 관방지도의 백미로 손꼽히는 지도이며, 회화적으로도 우수하다.

참고문헌

『한국의 옛지도』(문화재청, 2008)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하관의 변화』(배우성, 일지사, 1998)
문화재청(www.cha.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