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유인 ()

고려시대사
인물
고려후기 임유무제거, 출륙환도 등과 관련된 관리. 무신.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1270년(원종 11)
본관
진주(鎭州)
출생지
미상
관련 사건
임유무제거|출륙환도
정의
고려후기 임유무제거, 출륙환도 등과 관련된 관리. 무신.
개설

본관은 진주(鎭州). 아버지는 무신집권자 임연(林衍)이고 큰형은 임유간(林惟幹)이며 작은형은 교정별감(敎定別監) 임유무(林惟茂)이다. 장인은 도첨의중찬(都僉議中贊)을 역임한 채인규(蔡仁揆)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임씨무인정권(林氏武人政權)의 일족이다. 1270년(원종 11) 2월 임유인은 원종의 폐위와 안경공(安慶公) 왕창(王淐)의 옹립 사실을 알리러 원에 파견되었던 큰형 임유간의 집을 서방 삼번(書房三番)을 거느리고 호위하였다. 당시 둘째 형인 임유무는 고려무인정권 최후의 무신집정으로서 교정별감의 직책에 있었다. 임유인은 원종의 출륙환도(出陸還都, 開京還都) 명령을 거부하고 몽고에 다시 항전할 것을 공표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매형 홍문계(洪文系)와 직문하성사(直門下省事) 송송례(宋松禮)가 원종의 뜻을 받들고 동원한 삼별초 병력에 의해 죽음을 당하고 말았다.

이때 임유인은 자살을 기도하였으나 실패하여 사로잡힌 채 몽고 사신에 의해 죽음을 맞이하였다. 임유인과 임유무의 제거는 100년 동안 지속된 고려무인정권의 몰락을 의미하며, 출륙환도를 단행한 고려 정부가 원나라에 복속되어 원간섭기(元干涉期) 치세에 놓이게 되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고려사(高麗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고려의 무인정권』(김당택, 국학자료원, 1999)
『임연임연정권 연구』(신호철 외, 충북대학교 출판부, 1997)
「임연정권과 고려의 개경환도」(김당택, 『이기백선생고희기념 한국사학논총』상, 일조각, 1994)
「무신정권의 붕괴와 그 역사적 성격」(정수아, 『한국사』18, 국사편찬위원회, 1993)
「부록: 〈별표 1〉 고려후기 세족가문의 세계도 5 평강채씨」(김광철, 『고려후기 세족층연구』, 동아대출판부, 1990)
「임연정권에 관한 연구」(성봉현, 『호서사학』18, 1988)
집필자
남인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