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예엔 미처 몰랐어요)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작품
김소월(金素月)이 지은 시.
정의
김소월(金素月)이 지은 시.
개설

4연 8행의 자유시이다. 1925년 12월에 간행된 김소월의 시집 『진달래꽃』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이 시는 각 연이 2행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연의 두 번째 행에서는 “예전엔 미처 몰랐어요”라는 후렴구가 반복된다. 이 시의 화자는 달을 쳐다보며 마음속 그리움과 설움을 투사하고 자신이 직면해 있는 감정의 상태를 고백한다.

남녀 간의 연정을 드러내는 이 시에서 달은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 그리움을 알기 전에는 단순한 자연에 지나지 않았던 달이 이제는 그리움을 촉발시키는 매개가 되어 있는 것이다.

이 시의 묘미는 그리움의 발생을 분기점으로 하는 주정적인 시간의식에 있다. 임에 대한 그리움을 알기 전에는 달을 쳐다볼 줄도 달에서 자신의 감정을 발견할 줄도 몰랐지만 이제는 달라졌다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임에 대한 그리움이 사무치는 현재 자신의 상태이다. 이 시의 주된 정조는 임과 이별해 있는 현재의 부정적인 상황에 비탄이다.

이 시에서 임과의 이별로 인한 그리움과 서러움이라는 극한의 감정은 서경과 서정의 조화로 인해 조절된다. “봄 가을 없이 밤마다 돋는 달”이라는 단조로운 서경과 ‘사무치는 그리움’이라는 극한의 감정이 균형을 이루는 셈이다. ‘밝은 달’과 ‘설움’의 조합도 마찬가지로 균형과 절제를 이룬다.

1연의 단순한 서경과 2연의 간절한 서정을 이어 3연에서 다시 평이한 진술로 감정의 기복을 조절했다면 마지막 연에서는 감정이 절정으로 치닫는다. 짧은 시이지만 감정의 완급 조절 및 서경과 서정의 조화가 뛰어나다.

이 시에는 김소월 시 특유의 그리움과 설움의 정조가 압축되어 있다. 김소월의 시는 이별 후의 상실감과 비애를 주된 정조로 삼는다. 이 시에서도 알 수 있듯 김소월의 시에서는 임과 사랑했던 과거의 시간보다는 임과 이별해 있는 현재의 시간이 가장 강한 구속력을 갖는다. 김소월 시에서 두드러지는 비애의 정서는 이러한 현재 중심의 시간의식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의의와 평가

이 시는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별로 인한 그리움과 설움이라는 보편적인 정서를 탁월하게 표현하는 김소월 시의 특징을 함축하고 있다. 감정의 완급 조절과 서경과 서정의 조화가 뛰어나서 주1의 전통적 맥을 잇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현대시의 방법 연구』(이희중, 월인, 2001)
「김소월 시의 반복 기법 연구」(이경수, 『어문연구』 133호, 2006.3)
「김소월의 시작방법과 시의식 연구」(전도현, 고려대 박사학위논문, 2002)
「김소월·한용운 시의 비유구조와 욕망의 존재방식」(이혜원, 『현대시의 욕망과 이미지』, 시와시학사, 1998)
주석
주1

개인의 감정이나 정서를 주관적으로 표현한 시. 서사시ㆍ극시와 함께 시의 3대 부문으로 일컬어지며, 그리스 여성 시인 사포가 그 원조로 꼽힌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