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닥불

현대문학
작품
백석(白石)이 지은 시.
목차
정의
백석(白石)이 지은 시.
개설

3연 3행의 자유시이다. 1936년 1월에 간행된 백석의 시집 『사슴』에 실려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시는 줄글 형식의 긴 행들이 각각 하나의 연을 이루며 전체 3연으로 구성되어 있다. 1연에서는 모닥불에서 타고 있는 자질구레한 사물들이, 2연에서는 모닥불을 쬐고 있는 소외된 사람들과 동물들이, 3연에서는 모닥불에 얽힌 ‘슬픈 역사’가 제시된다.

이 시에서는 추운 겨울날 모닥불을 피워놓고 이것저것을 태우며 불을 쬐고 있는 농촌 공동체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새끼오리’, ‘헌신짝’, ‘소똥’, ‘갓신창’, ‘개니빠디’, ‘너울쪽’, ‘짚검불’ 등 모닥불에서 타고 있는 보잘 것 없는 사물들을 일일이 나열하여 한 행이 길어진다. 아무렇게나 버려졌던 것들이 모닥불을 이루어 타고 있다.

모닥불을 쬐고 있는 군상 역시 이 사물들과 짝을 이룰 만한 보잘 것 없는 처지들이다. ‘재당’, ‘초시’, ‘문장늙은이’, ‘더부살이 아이’, ‘나그네’, ‘땜쟁이’ 등 모두가 초라하고 소외되어 있는 사람들이다. 모닥불을 쬐는 무리 중에는 ‘큰 개’와 ‘강아지’도 끼어있다. 집밖에서 추위에 떨고 있는 처지는 서로 다르지 않다. 아무도 불러주지 않는 이 초라한 무리를 시인은 일일이 호명하며 모아놓는다. 이들은 모두가 모닥불을 둘러싸고 모여 하나의 공동체를 이룬다. 보잘 것 없던 사물들이 모닥불로 타오르면서 보잘 것 없던 무리들을 온기로 묶는다.

마지막 연에서는 “어미아비 없는 서러운 아이”였던 할아버지가 혼자 모닥불을 쬐다 몽둥발이가 된 사연이 제시된다. 할아버지의 ‘슬픈’ 이야기는 부모나 거처를 잃어 보호받지 못하는 사람들 모두가 공감할만한 ‘역사’이다. 이 시에서는 그 역사를 함께할만한 소외된 사람들이 모여 온기를 나누는 따듯한 정경을 통해 공감과 위안의 정서를 펼쳐 보인다.

이 시는 소외된 존재들이 공동체를 이루어 형성하는 평등하고 충일한 세계를 소박한 언어와 담담한 어조로 질박하게 그려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참고문헌

『백석을 만나다』, (이숭원, 태학사, 2008)
『백석 시 바로 읽기』, (고형진, 현대문학, 2006)
『백석 시어의 힘』, (최정례, 서정시학, 2005)
「백석 시의 은유와 환유 구조 - 시 「모닥불」을 중심으로」, (신용목, 『한국시학연구』 33호, 2012)
「백석의 「모닥불」」, (박태일, 『시와시학』 15호, 1994.09)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