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경 ()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작품
김교제(金敎濟)가 집필한 장편번안소설.
목차
정의
김교제(金敎濟)가 집필한 장편번안소설.
내용

작가의 네 번째 발표 작품으로 1912년 6월 5일 동양서원에서 단행본으로 출판되었다. 이 소설은 악하고 탐욕스러운 관리 때문에 죽음의 위기에 처했던 김감역 부녀(父女)가 갖은 고난 끝에 재결합에 이르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동학농민운동 직후 탐관오리 정승지는 무고한 김감역을 동학 접주로 몰아 사형에 처한 후 재산을 탈취한다. 이에 김감역의 딸 빙주는 정승지의 목을 베어 아버지의 영정에 바침으로써 복수를 감행한다.

박참위의 도움으로 체포를 피해 도망치던 빙주는 이협판의 조카 옥희와 만나는데, 옥희는 화적을 토벌하던 군인들의 유탄에 맞아 쓰러진다. 빙주는 옥희가 죽었다고 생각하고 자신이 이협판의 조카인 것처럼 가장하여 정승지의 숙부 정대신의 추적을 피하고자 한다.

이때 죽지 않고 살아서 이협판의 집을 찾아온 옥희는, 친조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선한 성품으로 인해 이협판의 사랑을 받고 있는 빙주를 시기하여 정대신에게 밀고한다. 빙주는 체포될 위기에 처하지만 무당인 삼살방마마의 딸이자 자신의 이복자매인 빙심이 대신 끌려가게 된다. 결국 정대신은 이협판의 상소로 악행이 탄로나 감옥에 갇히고, 사형을 당했던 빙심은 의원 출신인 최생원의 도움으로 소생한다.

한편 죽은 줄 알았던 김감역이 역시 최생원의 도움으로 살아있음을 알게 된 빙주는 마침내 아버지와 상봉한다. 김감역은 무당 일을 그만두기로 한 삼살방마마와 정식으로 부부가 되고, 빙주는 자신을 연모해 온 박참위와 결혼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동학농민운동 시기의 복잡한 계급적 갈등을 날카롭게 포착하고 있지만, 엽기적인 복수담을 제시함으로써 선정적 통속성이 두드러지고 이산가족의 수난 및 재결합이라는 신소설의 전형성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는 못한 것으로 평가된다. 최근 이 작품이 김교제의 창작이 아니라 일본 작가 무라이 겐사이(村井弦齊)의「두 미인(兩美人)」(1897)을 원작으로 한 번안소설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으며, 직접적인 대본(臺本)은 원작의 중국어 번역소설인「혈사의(血蓑衣)」(1906)이다.

참고문헌

『한국계몽주의문학사론』(최원식, 소명출판, 2002)
『신문학(新文學)과 시대의식』(김열규·신동욱 편, 새문사, 1981)
「모방과 유용-김교제의 번안소설 〈현미경〉(1912)에 대해 -(模倣と流用 -金敎濟の翻案小說 〈顯微鏡〉(1912)について)-」, (최태원, 일본 텐리대학교(天理大學校) 조선학회 제 62차 학술대회 발표문, 201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