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4년 1월부터 11월 『우리의 가정』 2호에서 12호에 걸쳐 연재되었다.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부평 토반(土班)의 딸로 태어나 어렸을 때 아버지를 여의고 편모슬하에서 어렵게 자란 주인공 경자(瓊子)는 인천에서 여자고등과를 우등으로 졸업한다. 어려운 집안 형편이기는 하지만 예의범절을 잘 지키고 뛰어난 능력을 지녀 보는 이마다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경자는 신문에도 소개되어 많은 이들의 주목을 받고 학생들 사이에서도 널리 흠모의 대상이 된다. 한편, 서울에서 전문학교를 다니는 황대성(黃大成)이 인천의 원족회(遠足會)에 참가했다가 경자를 보고는 그만 한눈에 반해버린다. 평소부터 경자를 흠모해 오던 황대성은 경자와 혼인할 것을 결심한다.
신학문을 배워 풍속개량과 자유연애 및 자유혼인을 주장하는 대성은 미신에 빠진 부모가 경자를 며느리로 받아들이도록 일을 꾸미고 계획대로 경자와 혼인하게 된다. 혼인 이후 두 사람의 혼인 생활은 행복했으나 시아버지 황참서의 며느리에 대한 엉뚱한 욕정으로 고난에 처하게 된다.
아들을 며느리와 떼어낼 생각으로 대성이를 일본에 유학 보낸 황참서는 경자에게 망측한 짓을 하려다 하인인 경천에게 매를 맞는 망신까지 당한다. 더 이상 시집에 머무르기가 어렵게 된 경자는 인천 친정에 돌아와 한숨으로 세월을 지새다가 심화병을 얻게 된다.
몸과 마음이 함께 쇠약해진 경자는 자신을 비관하며 바다에 몸을 던지나 마침 그곳을 지나던 배에 구조된다. 그리고 그 배에 타고 있던 하인 경천의 도움으로 병원에 입원하게 된다.
한편, 메이지대학[明治大學] 예과를 졸업한 대성은 어머니로부터 경자가 부정을 저지르고 있었다는 거짓 편지를 받고 낙담해 세계일주여행에 나선다. 여행 중 워싱턴에 들른 대성은 그곳에서 의학을 공부해 의사가 되어 조국의 불쌍하고 병든 동포를 구하겠다는 결심으로 워싱턴대학 의과에 입학해 열심히 공부한다.
이 작품은 최찬식의 다른 작품들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특징 중의 하나인 대중적 요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즉, 흥미 요소가 많이 있어 우선 그 점에서 독자의 시선을 끌고 있다.
특히, 시아버지의 며느리에 대한 욕정을 작품의 중요한 갈등구조로 설정한 것도 바로 이러한 소설적 흥미에 대한 작가의 의지를 엿볼 수 있게 하는 대목이다.
또한, 잡지에 연재되었다는 것도 이 시기 신소설로서는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은 이 시기 대부분의 신소설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 즉, 고대소설에서 근대소설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양상의 소설이다.
때문에 신구시대의 갈등과 대립을 통해 새로운 가치관을 추구하고 있으며, 인물이나 구성, 그리고 문체면에서 고대소설과는 뚜렷하게 다른 양상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