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림정거도 ()

목차
회화
작품
안중식(安中植)이 1913년에 두목(杜牧)의 「산행(山行)」을 주제로 그린 관념산수화.
목차
정의
안중식(安中植)이 1913년에 두목(杜牧)의 「산행(山行)」을 주제로 그린 관념산수화.
내용

1913년 안중식이 그린 「풍림정거도」는 「도원문진도」과 쌍을 이뤄 제작한 작품이다. 중국 문학작품을 주제로 자연의 아름다운 풍광을 그려낸 일종의 장식산수화이다. ‘단풍나무 숲에서 수레를 멈추다(楓林停車)’라는 제목처럼 키가 큰 단풍나무들이 있는 근경의 좁은 골짜기 사이로 바위에 앉은 선비와 두 명의 시동이 화려한 가을 단풍을 감상하고 있다.

선비와 시동들의 시선이 똑같은 곳을 응시하고 있는 모습은 두목의 시 「산행」 중에서 “수레를 멈추고 앉아 저녁 햇빛에 비친 단풍 숲을 감상하니, 서리 맞은 단풍잎이 2월의 꽃보다 더 붉네(停車坐愛楓林晩, 霜葉紅於二月花).”라는 구절을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때 인물의 시선이 멈춘 곳은 단풍나무 숲이며, 이러한 장면은 같은 주제의 회화에서 자주 접할 수 있는 도상 표현이다. 인물들 뒤로는 각이 심한 산들이 고원법(高遠法)으로 배치되어 있고, 산 사이에는 구름과 안개가 장식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전체 구도는 청 초(淸初) 전통화파인 사왕(四王 : 왕시민(王時敏), 왕감(王鑑), 왕휘(王翬), 왕원기(王原祁)) 산수화에서 기인된 것이다. 그리고 각진 암산의 윤곽선 주변에는 약간 푸른색을 칠하고 안쪽은 갈색으로 처리하여 선경(仙境)의 이미지를 추가한 것, 윤곽선 주변에 먹으로 호초점(胡椒點)을 무수히 가하여 장식성을 배가시킨 것 등은 세트로 그려진 「도원문진도」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사용된 표현기법이다. 이러한 장식산수화의 개척은 1907년 관직에서 물러나 근대적 전업화가로 변신한 안중식이 당시 서화√수요층의 미감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과정에 나타난 현상으로 이해된다. 이 작품은 안중식의 빼어난 장식적 표현기법과 문학작품에 대한 남다른 작가적 해석력을 보여주는 수작(秀作)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두보의 「산행」을 소재로 삼은 ‘풍림정거도’는 안중식의 작품으로 두 점 더 전하고 그 밖에 이인상(李麟祥), 정수영(鄭遂榮)이 그린 ‘풍림정거도’도 있다.

참고문헌

『한국근대회화선집 안중식』 한국화 1(금성출판사, 1990)
「심전 안중식 회화 연구」(박동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03)
집필자
최경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