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각 ()

현대문학
인물
일제강점기 「사당」, 「연모」, 「소녀」 등을 저술한 시인.
이칭
이칭
호적명 이인대(李仁大)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910년
사망 연도
1941년
본관
재녕 이씨
출생지
경상북도 영양군 석보면 원리(두들마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사당」, 「연모」, 「소녀」 등을 저술한 시인.
개설

경상북도 영양 출생. 호적명 이인대(李仁大), 족보명 이병각.

생애 및 활동사항

1918년안동보통학교 입학, 1924년 서울로 상경하여 중동학교 입학했으나 1929년 광주학생사건에 연루 퇴학당했다. 1930년 일본에 머물렀으나 귀국하여 청년운동, 민중운동을 했다. 이병각은 카프가 해체된 시기인 1935∼36년부터 문단활동을 시작한다. 그러나 이른 죽음으로 문학적 성취를 이루어내지 못하였다. 평론, 산문, 시에 이르는 장르의 경계를 넘나들며 자유롭게 작품활동을 하였지만 카프 해소 이후 10여 년으로 그치고 있다. 그는 현실도피적인 성향과 후두결핵으로 문단활동도 활발하게 하지 못하였다. 이병각의 시집은 1940년에 병든 몸으로 직접 한지에다 붓으로 써서 묶은 것이다. 이병각은 아호로 몽구로 불리었고, 인대라는 호적상의 이름은 아버지가 아들의 씀씀이를 걱정하여 이름을 고쳐놓은 것이며 실제 이름은 이병각이다.

영양군 석보면 원리(두들마을)에서 태어난 이병각은 신석초의 회상에 따르면 〈헌헌장부〉였고,〈시학의 추억〉 속에서 중요한 멤버로 기억된다. 『시학』이 5호로 종간될 때까지 매호에 작품을 싣고 있다. 김영식에 따르면 이육사는 이병각 부부가 폐병을 앓자 옆에서 간호했으나 이육사의 건강은 더욱 나빠졌다고 한다. 또한 김유정, 김해강, 김기림, 김소엽 등 작가의 작품론을 썼고, 김유정의 죽음을 애도하는 「여름 제물(祭物)」을 남기기도 하였다. 그는 서울 중동학교에 입학했다가 퇴학당하고 일본유학 중에서 검거되어 조선으로 송환되어 체포되기도 한다. 이후 조선일보사 기자가 되었고 1935년 이후부터 잡지, 신문에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그가 1941년 후두결핵으로 요절하게 되어 작품활동의 기간은 몇 년이 되지 않는다.

그는 병든 몸으로 직접 한지에다 모필로 시집을 묶었는데, 그 첫 장에는 ‘가장 괴로운 시대에 나를 나허주신 어머님게 드리노라’(1940년 2월)라고 쓰여 있다.

카프 해소 이후에 등장한 이병각에게 리얼리즘은 문학창작방법의 중요한 요소였기 때문에 「조선적 현실의 논고」를 통해 자신의 견해를 드러낸다.

참고문헌

「조선적 현실의 논고-창작방법과 작가의 세계관」, (이병각, 『청춘』, 1935, 8.)
「이병각 시 연구」, (한경희, 『어문론총』40, 한국문학언어학회, 200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