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요묘 묘지명 ( )

고대사
유물
고구려 말기의 귀족으로 당에 귀순하여 활동한 고요묘(高饒苗, 高鐃苗)의 묘지명.
이칭
이칭
대당고좌령군원외장군묘지(大唐故左領軍員外將軍墓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구려 말기의 귀족으로 당에 귀순하여 활동한 고요묘(高饒苗, 高鐃苗)의 묘지명.
개설

고구려 멸망 후 당에 들어가 활동했던 고요묘의 활동을 기록해 무덤 속에 넣었던 묘지명이다. 2007년 12월 중국 섬서성 서안시에 있는 서안비림박물관에서 구입하여 입수했는데, 서안 지역에서 출토되었다는 것 이외에 정확한 출토지는 알 수 없다.

묘지명은 청석(靑石)으로 만들어졌고, 뚜껑돌〔蓋石〕과 지석(誌石)이 모두 남아 있다. 뚜껑돌의 크기는 가로 57㎝, 세로 57㎝, 두께 7.5㎝이고, 지석의 크기는 가로 56.6㎝, 세로 56.4㎝, 두께 11.5㎝이다. 뚜껑돌의 윗면에는 가로 44㎝, 세로 44.3㎝의 평면을 마련하고, 두 줄로 구획한 후, 그 안에 행당 3자씩 4행에 걸쳐 전서(篆書)로「대당고좌령군원외장군묘지(大唐故左領軍員外將軍墓誌)」라고 12자를 새겨 넣어 묘지명의 주인을 밝혔다. 지석은 18행 15자로 방격(方格)을 그은 후, 앞뒤 2행씩은 공백으로 남겨두고 3행부터 16행까지 해서(楷書)로 1행당 15자, 총 173자를 새겨 넣었다.

묘지명을 지은 사람과 글씨를 쓴 사람은 알 수 없다. 묘지명의 작성 시기에 대한 기록이 없지만, 묘주(墓主)인 고요묘가 세상을 떠난 673년 11월에서 멀지 않은 시점이었을 것이다.

내용

묘지명에는 묘주의 관직, 성명, 출신지와 당으로 들어오게 된 까닭과 당에서의 활동 등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묘주의 죽음과 묻힌 곳 등에 대해 아주 간략하게 기술되어 있다. 묘주인 고요묘는 요동(遼東) 즉 고구려 사람으로 당에 투항하여 궁정을 수비하고 황제를 호위하는 좌령군원외장군(左領軍員外將軍)을 지냈다. 그는 무관임에도 불구하고 글을 잘 쓰고, 말솜씨도 좋았다. 이 고요묘라는 인물은 『삼국사기(三國史記)』 고구려본기(高句麗本紀)에 668년 9월 고구려 평양성이 함락될 때 신성(信誠) 휘하에 있다가 당군과 내통하여 성문을 열어준 소장(小將) 요묘(饒苗)와 동일인이다.

고요묘가 당에 들어간 것은 고구려 멸망 직후였다. 668년 12월에는 당고종(高宗)으로부터 평양성 전투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종3품 좌령군원외장군(左領軍員外將軍)이라는 고위 무관직을 제수받아 황제를 가까이서 호위하는 일을 맡았다. 당시 당에서 이민족 출신으로 투항해 온 인물들을 상당히 우대하였다는 사실을 고요묘묘지명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고구려 마지막 왕인 보장왕(寶藏王)과 대막리지(大莫離支)였던 남생(男生)이 당에서 받았던 관직이 정3품이었다는 것과 비교해도 고요묘가 받은 종3품은 매우 높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당에 투항한 지 5년만인 673년 11월 11일 고요묘는 장안성(長安城)에서 갑자기 사망했고, 장안성의 남쪽에 묻혔다. 세상을 떠날 때의 나이는 출생 시기에 대한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묘지명에는 우회적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젊은 나이에 고구려 유민에게 암살당하여 일생을 마감한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고구려의 소장 고요묘는 조국의 멸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배신자였고, 당에 들어가 고관대작으로 출세했다는 사실을 묘지명의 발견으로 확인할 수 있다. 고요묘묘지명은 고구려를 배신하고 당에서 활약한 고구려 유민의 존재 양상을 분명히 밝혀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평가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고구려 유민 고요묘 묘지 검토」(김영관,『한국고대사연구』56, 2009)
『구당서(舊唐書)』
『신당서(新唐書)』
『자치통감(資治通鑑)』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