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 창가 ( )

국악
개념
1920년대에 한국에서 애창된 서양노래와 서양식의 노래. 창가 · 유행가 · 유행소곡.
이칭
이칭
창가, 유행가, 유행소곡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20년대에 한국에서 애창된 서양노래와 서양식의 노래. 창가 · 유행가 · 유행소곡.
개설

1920년대에 유행하였던 창가와 1920년대 한국에서 애창된 세계 명곡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한국 대중가요의 시초가 되는 노래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연원 및 변천

19세기 말부터 한국에 수용되기 시작한 서양의 노래와 서양식으로 만든 노래를 모두 창가라 하였다. 20세기에 들어 서양음악이 본격적으로 수용되면서 창가의 내용과 기능이 다양해지자 편의상 그것을 구분하는 용어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1920년대에 이르러 사용하기 시작한 ‘유행창가’라는 용어도 그 중 하나로, 음악장르나 양식을 일컫는 것이 아니라 장르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가 있는 노래를 의미하였다. 그런 한편 유행가와 대중가요라는 용어가 정착되기 이전에 이에 해당하는 노래도 유행창가라 하였다. 다양한 형태를 띤 창가는 1930년대 들어 각각 독립된 장르의 노래로 발전하였고 동요, 가곡, 유행가, 신민요 등 그에 해당하는 용어를 갖게 되었다. 그러면서 유행창가라는 용어도 차츰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유행창가라는 이름을 사용한 대표적인 노래집으로는 1922년 이상준이 편찬한 『신유행창가집』, 1927년 유석조가 편찬한 『소년소녀 교육유행창가집』, 1927년 강범형이 편찬한 『신식유행이팔청춘창가집』 등이 있다.

내용

음악 장르를 불문하고 1920년대에 유행하였던 노래라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내용 또한 다양하고 다채롭다. 음악적인 내용 면에서 교육 창가를 비롯하여, 계몽창가, 찬송가, 동요, 유행가, 세계명곡, 일본 대중가요, 신민요 등 다양하며, 가사의 내용 면에 있어서도 교육적인 내용과 종교적인 내용에서 일상의 희로애락을 담은 내용에 이르기까지 다채롭다. 그런 가운데 이별과 비극적인 사랑을 노래한 것이 압도적으로 많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의의와 평가

다양한 종류의 외국 노래를 수입하여 우리식으로 재창조하였고 그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근대식 노래 문화를 형성시켰다. 그리고 한국 대중가요의 탄생에 결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참고문헌

『우리양악100년』(이강숙, 김춘미, 민경찬, 현암사, 2001)
『한국 창가의 색인과 해제』(민경찬, 한국예술연구소,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